‘K·Y수첩 파문’ 여파로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이 김무성 대 청와대의 대리전으로 치러질 수 있다는 관측이 돌고 있다. 김무성 대표(왼쪽)와 박근혜 대통령. 연합뉴스
여의도 정가에서 가장 많이 회자하는 이야기는 오는 5월 원내대표 경선구도에 관해서다. 친밀도는 당사자만 알겠지만 일단 ‘K·Y’, 즉 김무성·유승민은 한 세트가 됐다. 구도가 ‘청와대 대 김무성’의 대리전으로 치러질 수 있다는 해석이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이번 사건으로 의원들은 BH(청와대)냐, MS(김무성)냐는 선택지를 받아들게 됐다”고 진단했다.
해양수산부 장관에서 내려온 이주영 의원은 원내대표 출마를 공식화하지는 않았지만 최근 의원들과의 스킨십에 열중하는 모습에서 도전 의지가 읽힌다. 그는 15일에도 재·보궐 선거로 국회에 입성한 의원들과 오찬을 했다는 후문이다. 앞서의 관계자는 “이주영 의원이 언론 인터뷰에 응한다는 것은 원내대표 출마 여부를 물어달라는 의도가 있지 않겠는가. 때가 되면 말하겠다는 것은 출마 선언 타이밍을 보겠다는 뜻으로 밖에 해석되지 않는다”고 했다.
다수의 정치권 인사들은 지난해 박 대통령이 이 의원의 사의를 수용한 뒤 “참된 공직자상”이라 띄웠던 것을 청와대의 의중이라고 보고 있다. 박 대통령의 화법 스타일을 잘 아는 친박계 인사들은 하나같이 “이주영 당신, 원내대표 나가서 날 좀 도와줘요”라는 말과 같은 뜻이라고 해석한다.
친박계 사정을 잘 아는 한 여권 인사는 “BH가 원하는 원내대표상은 크게 세 가지”라며 “시키는 일을 최대한 매끄럽게 반영할 것, 자기 정치를 하려하지 말 것, 김무성 대표를 제대로 견제할 것”이라고 했다. ‘이한구-최경환-이완구’ 원내대표 라인업의 공통점도 이 역할을 훌륭히(?) 수행했다는 점이다.
최근 ‘수도권 원내대표론’을 선언하며 출마 의지를 다진 홍문종 의원을 두고선 친박계 결집을 위한 불쏘시개로 보는 시각이 많다. 홍 의원은 “당대표도 영남인데 영남에서 원내대표가 나오면 다음 총선에서 수도권은 어렵다”는 논리를 댄다. 이 의원과 홍 의원이 모두 출격하면 친박표가 쪼개지기 때문에 둘의 단일화가 이뤄지고, 수도권 원내대표론에 대한 일종의 지분을 홍 의원이 원할 것이란 소리도 있다.
원내대표전에 가장 먼저 뛰어든 유승민 의원을 두고선 이번 ‘K·Y 수첩 파동’이 어떻게 작용할지 해석이 분분하다. 먼저 유리해졌다는 해석은 이렇다. 여권 전략 관계자는 “박 대통령 지지율이 하방 경직화하면 무게는 김 대표 쪽으로 쏠린다. 김 대표 스타일상 누구를 내세우지는 않겠지만 이런 구도라면 유 의원을 MS 쪽 사람으로 보지 않겠는가”라고 분석했다.
김 대표가 지난해 전당대회 직후 사무총장에 유 의원을 낙점했으나 실현되지 않아 둘 사이가 서먹해진 바 있다. 하지만 지난 연말부터 관계가 개선됐다는 전언이 많다. 이 관계자는 “통합진보당 해산으로 세 곳에서 4월 재·보궐 선거를 치러야 하는데 이번 재보선은 김 대표에게 꽃놀이패”라며 “최고로 선전하거나, 만에 하나 한 석이라도 건지면 김 대표로선 날개를 달고 유 의원은 그 등에 업힐 수 있다”고 내다봤다.
불리해졌다고 보는 쪽은 이런 해석을 내놓는다. 친박계 중진 의원은 “유 의원이 멀어졌다고는 하지만 친박계에선 여전히 유 의원은 우리 사람”이라며 “그런데 김 대표와 한 패키지로 엮이면 친박표를 하나도 얻을 수 없다. 그래도 현재 당에선 비박보다 친박이 훨씬 많지 않으냐”고 반문했다. TK(대구·경북) 지역 재선 의원은 “유 의원이 박 대통령과 대척점에 서는 모습은 TK 표가 분산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득보다 실이 크다”고 했다.
4선의 원유철 의원이 수도권 역할론을 이야기하며 원내대표 선거에 나서겠다고 밝힌 것과 같이 변수는 여럿이다. 원 의원도 홍문종 의원과 같이 “당이 지역 정당으로 가는 것을 막아야 한다. 영남에서 당대표가 나왔으니까 인구의 절반, 국회 의석수의 절반을 차지하는 수도권에서 원내대표가 나와 투톱으로 가는 게 맞다”는 논리를 들었다. 수도권에선 4선의 심재철 정병국 의원의 도전 가능성도 있고, TK에서는 장윤석 의원도 거론된다. 다자구도로 진행돼 친박 대 비박의 대결구도가 희석되면 의원들의 개인 선호도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분명한 것은 김 대표 쏠림현상이 알게 모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14일 김 대표의 신년 기자회견장에는 비박계 의원보다 친박계 의원이 많았다. 취재진이 앉을 자리도 모자랐기 때문에 의원들의 참석을 만류했다는 이야기까지 나왔던 터다. 당시 회견장을 찾은 친박계 의원실 관계자는 “누가 봐도 ‘저 의원이 왜 여기에 왔지?’라고 생각할 정도의 친박 의원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확실히 눈도장 받겠다는 의지가 타오르는 듯했다”고 귀띔했다.
일부는 당청 허니문은 끝났다고 본다. 2월 임시국회부터 김 대표가 당에 본격적으로 자기 색깔을 입힐 것이란 관측이다. 청와대에 할 말은 할 태세라는 것이다. 개헌론, 박세일 여의도연구원장 임명, 공무원연금 개혁 속도조절, 공천 룰, 정치개혁 등 계파 전쟁이 예고되는 수많은 카드를 김 대표가 쥐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친박은 수세적, 방어적 입장이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K·Y 수첩 파문은 청와대를 향한 김무성식 대응이라는 해석도 있다. 수첩은 친박에 날린 경고장이란 뜻이다. 김 대표가 이준석 전 비상대책위원으로부터 K·Y가 문건 파동의 배후라고 들은 것은 6일 저녁. 그 현장에서 크게 분노했던 김 대표는 수첩에 메모를 했고 본회의장에서 꺼내 읽었다. “전의를 다지는 모습 아니냐”고 해석하는 정가 인사도 있었다. 연초, 여권 분위기가 예사롭지 않다.
이정필 언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