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양정철 전 비서관, 전해철 의원, 이호철 전 비서관.
원내인사인 전 의원을 제외한 ‘양정철·이호철’ 등은 비선 논란 이후 여의도행을 자제하는 등 문재인 대표와의 거리두기를 하고 있다. 전 의원도 특별감찰관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하거나, 지역 현안인 4호선 반월역 스크린도어 설치 등 정책행보만 할 뿐 소위 ‘튀는 언행’을 자제하고 있다. 친노계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정치권에서 거론하고 있는 삼철 논란은 말도 안 되는 얘기”라며 “여의도 인사들에게 한 번 물어봐라. 양 전 비서관 등이 여의도에 나타나 활동하고 있는지, 못 본 지 오래됐다”라고 말했다. 당 관계자들의 말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양정철·이호철’ 등이 문 대표의 문지기인지 여부를 떠나, 여의도 정치에 적극 개입하는지도 의문이라는 것이다.
실체 여부를 두고 의견이 분분한 이들이 자취를 감추자, 문 대표가 이들에게 당분간 정치적 잠행을 하라고 경고했다는 설과 친노계 내 원내인사들과의 권력다툼설 등 확인되지 않는 얘기들이 넘쳐나고 있다. 특히 2012년 대선 때 문 대표의 SBS <힐링캠프> 출연 기획을 주도한 양 전 비서관이 안철수 전 공동대표 인사를 끌어들이려다가 막혔다는 얘기까지 나오면서 친노 내부에선 뒤숭숭한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친노계 인사는 이와 관련해 “도대체 친노 패권주의 실체가 뭐냐”며 “없는 걸 있다고 하고 내려놓을 게 없는데, 자꾸 기득권 운운하니까 답답할 따름”이라고 분통을 터트렸다. 이 관계자는 현재 삼철 논란이 2012년 대선 당시 ‘친노 2선 후퇴’ 상황의 판박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 대선에서 문 대표가 좀처럼 ‘골든크로스’(지지율 역전 현상)를 하지 못하자, 친노 내부에서 ‘2선 후퇴론’이 흘러나왔다. 문재인 캠프 총무본부장을 맡았던 우원식 의원이 물꼬를 튼 친노 2선 후퇴론이 대선판의 변수로 급부상한 것이다. 캠프 내부에선 “누가 친노이고, 누가 비노이냐”라고 반발했다. 2선 후퇴 대상자로 참여정부 민정수석과 인사수석 출신인 전해철·박남춘 의원과 함께 윤후덕 의원, 윤건영 문재인 의원실 보좌관 등이 거론됐다.
이후 ‘친노 2선 후퇴’ 논란이 확산일로로 치닫자 삼철의 한 축인 이 전 수석까지 동참했다. 이윽고 2선 후퇴할 ‘친노 9인방’이 만들어졌다. 하지만 이 전 수석은 문재인 캠프에서도 부산지역 선거대책위원회에서도 공식 직함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변방에 머물러있던 삼철이 권력 헤게모니의 최정점인 대선판 중앙으로 불려나온 셈이다. 4·29 재·보궐선거 직후 불거진 ‘문재인판’ 십상시 논란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게 친노 관계들의 증언이다.
하지만 반론도 만만치 않다. 2012년 총선 공천 당시 한명숙 대표가 이른바 ‘노이사’(노무현·이화여대·486) 공천으로 일관하는 등 패권적 행태를 하고, 이제 와서 발뺌한다는 것이다. 민주평화국민연대 한 관계자는 “그것을 계파 패권주의로 규정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공천 때마다 친노의 패권적 행태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며 “과거 ‘이(이해찬)-박(박지원)’ 담합 등이 있었는데, 없다고 하면 당 혁신 방법이 없다”고 날을 세웠다.
다른 관계자도 “이제는 친노도 ‘계파’가 아닌 ‘가치지향적’인 그룹으로 거듭나야 한다”며 “더는 계파와 정서에 기대는 정치가 아닌 가치철학과 이념으로 헤쳐모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윤지상 언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