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 제263회 임시회에서 김광수 의원(새정치민주연합, 노원5)은 “서울시가 녹조문제에 적절한 대응을 하고 있는 것인지 의문”이라며 대책을 촉구했다.
지난 6월, 서울에서 조류경보 제도가 시행된 이후 15년 만에 처음으로 조류경보가 발령됐다.
잠실수중보 하류구간(2~4구간)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남조류세포와 클로로필-a가 검출된 것이다. 조류경보는 7월 31일자로 해제되었으나 약 보름만인 8월 18일에 재발령됐다. 발령구간이 강동대교~행주대교(1~4구간)로 확대됨으로써, 현재는 한강 모든 구간에서 조류경보가 발령 중이다.
다행히 서울시가 도입한 고도정수처리시설은 원수가 악화되어도 안전한 수돗물 공급이 가능하다. 때문에 현재 심화되고 있는 녹조현상이 서울시 수돗물 수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녹조로 가득한 상수원의 모습은 수돗물에 대한 시민의 불안감을 키우기에 충분해 우려로 지적된다. 보다 안전하고 맛있는 수돗물 공급으로 수돗물에 대한 시민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부은 서울시의 노력이 무색해지는 대목이다. 서울시는 지난 9년간 5,285억원을 투자하여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었다.
특히 서울시는 건강한 수돗물을 시민에게 홍보하기 위해 2013년에 10억 99백만원, 2014년에 12억 88백만원, 그리고 금년에는 34억 93백만원을 편성하여 집행하고 있다. 그러나 한강에 이렇게 녹조가 심하게 형성하고 있다면 서울시민은 막연한 불안감에 수돗물을 거부하고 될 것이다. 결국 홍보비는 낭비만 하는 꼴이 된다.
김 의원은 “현재 서울시는 조류경보제 각 단계에 따라 물재생센터 운영강화, 수돗물 안전대책 가동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이는 임시방편에 지나지 않는다”고 경고했다. 조류발생 이후 사후적 대책을 펼 것이 아니라, 조류 발생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사전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조류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조류발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질소(N)와 인(P) 특히 인 농도를 낮추면 조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김 의원은 “가뭄과 높은 기온 등의 자연현상은 우리가 어찌할 수 없는 사항이지만, 질소와 인 농도는 적절한 시설 투자와 노력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며 서울시 물재생센터 내 총인처리시설 확충 사업을 빠른 시일 내에 마무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서울시 한강 하류 구간으로 갈수록 수중 총인(T-P) 농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서울시는 조류경보가 발령됨에 따라 조류대책본부를 바로 가동했다고 하는데 그동안 무슨 일을 했는지 알 수가 없다.
김 의원은 “서울 시민의 안전, 그리고 무엇보다도 우리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각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며 서울시의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대책을 주문했다.
김정훈 기자 ilyo11@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