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더불어민주당 공천 면접 모습으로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공동취재단
“선거를 많이 치러서인지 경선비용을 각 후보들이 부담한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었다. 하지만 정치는 어이없는 측면이 많다. 돈 있고 수준이 떨어지는 사람이 국회로 더 많이 들어가고 오히려 균형감각을 가진 사람들은 돈이 없다는 이유로 여의도 입성에 실패한다. 지난 지방선거 때 우리 후보가 출마했을 때 경선비용을 1000만 원을 냈던 걸로 기억한다. 여러 가지로 너무 힘들다. 우리나라는 돈이 부족한 신인이 정치권에 진입하기가 너무 힘든 구조다. 이제 안심번호 때문에 비용까지 증가했다고 하니까 믿을 수가 없다.”
공천 룰에 따라 경선비용이 정해지는 상황에서 예비후보들은 ‘정보접근권’마저 차단당하고 있다. 현역 의원들은 공천심사위를 통해 여론조사 경선 방식에 대한 최신 정보를 입수할 수 있지만 예비후보들은 뒤늦게 정보를 받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더민주 국회 보좌관의 얘기를 들어보자.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에, 컷오프 명단 때문에 난리다. 이런데도 현역은 예비후보들에 비해 정보 습득이 빠르다. 공천 방식에 관한 비대위 문서를 지난주에 먼저 받았다. 국민 공천단 선정 방식도 지난주에 정해졌다. 여론조사 경선 비용 문제는 아직 불거지지 않았지만 예비후보에 비해 우리는 정보를 수월하게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예비후보들은 막상 경선비용 내역을 받아보면 놀랄 수도 있다. 우리는 미리 받아 빨리 대처할 수 있지만 예비후보들은 당황할 수밖에 없다.”
최선재 기자 sun@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