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9일은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탐험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날입니다. 어찌 보면 우리 인류사에 있어서 큰 의미가 있는 날인 셈이다. 대륙 탐험이 한창이던 1504년 2월 29일, 콜럼버스는 개기월식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이용해 원주민들을 복종시켰기 때문입니다.
콜럼버스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립니다. (철저하게 서구적 관점이긴 하지만) 어쨋든 보이지 않는 위험을 무릅쓰고아무도 가지 않는 길을 갔다는 점에서, 더군다나 신대륙의 발견이란 가시적 성과를 얻었다는 점에서 콜럼버스는 선구자적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 보자면 콜럼버스는 ‘학살자’나 다름 없습니다.
콜럼버스는 스페인 왕국의 지원을 받아 항해를 시작했고 1492년 처음 대륙에 임하게 됩니다. 종교적 사명, 인류의 순수한 탐구심은 그를 포장하기 위한 명분일 뿐 사실 그의 탐험은 교역과 시장 개척인 현실적 측면이 훨씬 컸습니다. 당연지사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은 곧 피를 부르게 됩니다.
대륙의 원주민들과 갈등을 일으키게 되고, 더 나아가 잔혹한 학살까지 저지르게 됩니다. 당시 콜럼버스의 선원들은 대륙 탐험 당시 금같은 상품들을 원주민들에게 요구합니다. 이에 응하지 않는 원주민들은 수족을 절단하거나 도망간 이들을 추적해 살해하기도 했습니다.
물론 원주민들의 저항도 상당했습니다. 콜럼버스는 이를 압살하기 위해 ‘과학’이란 무기를 꺼내듭니다. 유럽의 월력을 통해 1504년 2월 29일 개기월식을 예측한 콜럼버스는 원주민들에게 ‘기독교의 신이 노하여 2월 29일 달이 보라빛으로 물들 것’이라고 예언 아닌 예언을 하게 되죠. 당연히 이를 알리 없는 원주민들은 혼비백산하게 되고 콜럼버스에 복종하게 됩니다.
콜럼버스의 당시 이 술수는 옳은 것일까요. 사실 지금도 판단이 서지 않는 부분입니다. 당시 콜럼버스의 이 ‘속임수’는 결국 신대륙의 원 주인들을 서구사회의 부속물로 격하시키는 하나의 계기가 됐으니까요. 512년 전 오늘을 되돌아봅니다.
한병관 기자 wlimodu@ilyo.co.kr
-
‘단호박’ 안철수 “비리․부패인사 영입은 없다”
안철수 의원은 새집 만들기에 한창입니다. 기존의 제1야당 더불어민주당(탈당 당시 새정치민주연합)에서 나와 이제는 ‘국민의당’이란 새집을 만들고 있습니다. 뭐 아직은 새집을 만들어가는 과정이긴 하지만, 벌써부터 정계는 술렁이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오는 총선에서 안철수와 국민의당이 얼마나 큰 바람을 불러올지를 두고 호기심 어린 시선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의 관심사는 역시 ‘국민의당’이란 새집보다는 그 집에 들어오는 인사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역시 정치는 내용이 중요합니다. 포장보단 그 집에 어떤 사람들이 들어올지 내실에 대한 기대감이 앞섭니다.
물론 이제 어엿한(?) 정치인의 냄새를 폴폴 풍기고 있는 안철수 의원도 이를 모를 리 없습니다. 안 의원 스스로 신당 창당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청산해야 할 사람과는 손을 잡지 않겠다.” “부패에 단호히 대처하겠다.”
비리․부패전력이 있는 인사와는 함께하지 않겠다는 각오를 분명히 한 셈입니다. 초창기 실제로 그랬습니다. 1월 8일 허신행 전 농림수산부 장관을 포함한 3명에 대해 과거 행적을 두고 입당을 돌연 취소했으니까요. 일부 여론은 이러한 결단에 대해 ‘너무 기준이 과한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냈지만, 대다수에선 ‘그래도 뭔가 달라졌다’는 목소리를 냈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어째 이 기준이 서서히 흔들리고 있습니다. 입법 로비 혐의로 1심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은 신학용 의원의 입당은 허용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교섭단체 구성을 위해 한 석이 아쉬운 국민의당과 안철수 의원의 심정은 이해가 갑니다. 하지만 앞서 내보인 결단과는 뭔가 모순되는 구석이 있습니다. 과연 안 의원의 결단은 진심일까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떻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