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00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특별수행원으로 방북, 좌담회를 갖고 있는 이종석 내정자(오른쪽서 두번째) 일행. TV 촬영 | ||
당시 대학가에는 이른바 ‘북한 바로알기’ 붐이 일고 있었는데 그 역시 동료 대학원생들과 함께 북한 원전을 입수해 주체사상, 김일성 항일 무장투쟁사 등을 공부했다. 이른바 ‘독립문 연구회’로 불린 이 원전 공부 모임에는 당시 고려대 대학원생이던 정해구 현 성공회대 교수와 서울대 대학원생이던 정대화 상지대 교수 등도 참가했다고 전해진다.
1993년 ‘조선로동당의 지도사상과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논문에서 북한을 북한 내부의 작동 논리를 통해 들여다본다는 이른바 ‘내재적 접근론’ 입장을 취하면서 주체사상과 북한 권력구조를 비판적으로 분석해 학계의 주목을 받았고 이후 그의 대북관은 하나의 흐름으로 정착됐다.
이 논문은 특히 논문 심사위원에 동국대 강정구 교수가 참여했다는 이유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 장관은 이 논문을 93년 4월에 대학에 제출, 8월에 학위를 딴 것으로 전해진다. 장을병 전 의원, 윤근식, 이국영 성대 교수, 서진영 고려대 교수(전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장), 그리고 강 교수가 논문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을 지낸 임용순 전 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이 장관의 지도 교수였으나 논문 심사는 하지 않았다고 한다.
김영삼 정부 시절인 95년에는 ‘김정일 정권의 전망과 우리의 대응방향’이란 논문을 통해 “대북정책을 포용 쪽으로 방향을 바꿔 북한과 ‘적대적 의존관계’를 청산하고 긍정적 반응을 이끄는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구체적인 대북정책 방향에 대한 입장을 밝혀 논란을 불러오기도 했는데 당시 그의 주장은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평화번영정책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또 이 당시 그는 정부에 대해 ‘냉전·수구세력과의 결별과 정권 안보 수단으로 이용되어 온 국가보안법 폐지’ 등을 주장한 바 있다.
그보다 전인 2002년 11월 그는 한 신문 칼럼을 통해 북핵 해결 원칙에 대해 “첫째, 북한의 핵 개발은 용납할 수 없다. 둘째,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당시 그가 주장한 이 원칙들은 현 정부의 대북관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다. 참여정부는 당시 이 내정자의 두 가지 주장에 ‘우리의 주도적 역할’을 더해 북핵 해결의 3원칙으로 제시하고 있다. 참여정부의 대북정책에서 그가 차지하는 위치가 얼마나 큰지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대목이다.
한상진 기자 sjinee@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