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소공로 우리은행 본점. ‘최순실 게이트’ 영행으로 우리은행을 비롯해 차기 은행장 선임 작업이 혼란에 빠졌다. 최준필 기자
특히 관심이 집중되는 곳은 기업은행이다. 국책은행이라는 특성상 그동안은 ‘윗선’의 뜻에 맞는 인사가 당연시되는 분위기였지만 지금은 기업은행의 원래 전통인 내부 승진으로 방향을 트는 중이다.
후보자 제청권을 가진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경제부총리로 지명된 데다 무엇보다 임명권을 가진 박근혜 대통령이 리더십에 치명상을 입은 상태다. 이 때문에 기업은행 내부에서는 이미 차기 행장 유력 후보가 거론되는 등 권력서열을 자체 정리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현재까지 차기 기업은행장으로 가장 강력하게 거론되는 인물은 수석부행장을 맡고 있는 박춘홍 전무다. 기획력과 추진력이 강점인 박 전무는 충청지역본부에서 오랫동안 근무한 지역전문가 출신으로 조준희 전 은행장 시절 본점으로 와 기업고객본부 부행장, 경영지원본부 부행장 등을 지내며 능력을 검증받았다. 박 전무에게 도전할 잠룡으로는 이상진·김도진 부행장 등이 꼽힌다.
만약 이들 중 한 명이 은행장이 될 경우 기업은행은 조준희 전 행장과 권선주 현 행장에 이어 3연속 내부 출신 은행장을 배출한다. 금융권에서는 이미 박 전무의 승진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국책은행 한 관계자는 “더 이상 정부에서 기업은행에 낙하산을 내려 보낼 힘도 없을 뿐더러 이 분위기에서 오겠다는 사람도 찾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기업은행 내부서열과 임직원들의 신임도 등을 감안할 때 박 전무가 적임자라는 데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물론 권선주 현 행장이 연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국이 어수선한 데다 큰 문제 없이 기업은행을 이끌어온 권 행장이 차기 정부가 들어설 때까지 1년 정도 더 행장직을 수행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정권이 바뀌면 아무래도 국책은행에 자기 사람을 앉히고 싶은 욕구가 있지 않겠느냐”면서 “지금 새로운 행장을 뽑으면 자칫 1년짜리 행장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권 행장이 새 정부 수립 전까지 임기를 연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전직 금융기관장 출신 인사가 차기 은행장으로 온다는 소문으로 뒤숭숭했던 우리은행 역시 낙하산 대신 내부 경쟁이 대세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예금보험공사가 최대 주주인 우리은행은 은행장 인선은 물론 계열사 CEO 선임에도 자연스럽게 정권의 입김이 작용해왔다. 이광구 현 행장도 취임 당시 ‘윗선 개입’ 의혹으로 곤욕을 치른 바 있다.
현재 예보 지분 51% 가운데 30%가량을 매각하는 작업이 추진 중인 우리은행장 자리도 이 행장의 연임이냐, 새 인물의 급부상이냐가 관전 포인트다. 민영화작업이 성공리에 끝나면 이 행장의 연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릴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지만, 2인자들의 물밑경쟁에도 불꽃을 튀고 있다.
임기 만료를 앞둔 권선주 IBK기업은행장 후임 인선 작업이 스톱되면서 일부에서는 권 행장의 연임 가능성에도 무게를 두고 있다. 임준선 기자
만약 내부 승진이 이뤄질 경우 부행장 3인방이 치열한 경쟁을 벌일 전망이다. 현재 차기 은행장으로 자천타천 거론되는 인물은 이동건 영업지원본부그룹장, 남기명 국내그룹장, 정화영 중국법인장 등이다.
반면 민간은행인 신한·하나·KB금융은 상대적으로 느긋한 분위기다. 특히 임기 만료를 목전에 둔 신한·하나·KB금융 CEO들의 연임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 조용병 신한은행장, 함영주 KEB하나은행장은 내년 3월,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겸 KB국민은행장은 내년 11월 임기가 만료된다.
신한금융의 경우 한동우 회장이 연임을 하지 않겠다고 밝힘에 따라 ‘포스트 한동우’ 체제가 초미의 관심이다. 특히 차기 회장 유력 후보로는 지난해 신한은행장직을 두고 경쟁을 벌인 조용병 은행장과 위성호 신한카드 사장이 거론되고 있다.
KB금융은 내년이 윤종규 회장의 임기 마지막 해이니만큼 회장과 행장직을 분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국민은행 내부에서는 겸임 체제를 유지하기를 바라는 분위기도 강하다. 최근 청와대 출신이 은행 감사직에 내려온다는 논란에 휩싸였지만 최순실 사태 이후 자취를 감춘 것으로 전해진다.
신한금융은 재일교포가 설립한 금융지주사로 순혈주의가 강해 외부 인사가 들어오기는 힘들 전망이며 하나금융 역시 외부 입김의 영향이 적은 금융사기 때문에 변수는 적을 것으로 보인다. 농협금융지주는 대주주인 농협중앙회의 인사 재편 속에서 회장 인선이 이뤄지겠으며, 김용환 회장이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및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출신이라는 점에서 공직으로 복귀도 예상된다.
금융권 또 다른 관계자는 “금융사들은 대부분 과거 공적자금이 투입된 전력이 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정부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다”며 “현직 행장의 연임이 유력하다는 것은 단순히 아직 윗선의 지침을 받지 못했다는 뜻일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영복 언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