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테인먼트 회사의 몸집 불리기로만 보기에는 방송가의 움직임이 예사롭지 않다. 방송 콘텐츠 제작의 주도권이 방송사가 아닌 엔터테인먼트 회사로 이동할 가능성마저 제기되고 있다. 방송가의 지각변동은 이미 시작됐다는 분석도 따른다.
# 방송사 유력 PD들 공격적 영입
방송가에서는 MBC PD들의 대거 YG엔터테인먼트 이적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마포구 합정동 YG엔터테인먼트 건물. 임준선 기자
YG는 이들 연출자 외에도 케이블채널 엠넷에서 <프로듀스 101>, <쇼미더머니> 등을 성공적으로 만든 한동철 PD의 영입에도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이름이 거론된 이들 외에도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에 소속된 또 다른 PD들 역시 곧 YG 이적을 확정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제기되고 있다.
한 방송 관계자는 “YG가 공격적인 스카우트를 진행해 방송사 PD들이 대거 합류했다”며 “현재 알려진 사람들 외에도 특정 방송사와 계약기간이 끝난 PD들의 영입도 진행 중이다”고 밝혔다.
YG뿐만이 아니다. 가수 윤종신의 회사인 미스틱엔터테인먼트(미스틱)의 움직임도 다르지 않다. 최근 jtbc <아는 형님>을 기획한 여운혁 PD를 영입했다. MBC 출신인 여운혁 PD는 <무릎 팍 도사> 등 히트 프로그램을 만들어 MBC 예능의 전성기를 만든 연출자다. jtbc 개국과 함께 이적한 이후에도 종합편성채널이라는 한계를 딛고 숱한 히트작을 만들어왔다. 돌연 방송사를 떠나 미스틱으로 무대를 옮겼다.
물론 PD들의 이적 행렬이 한꺼번에 이뤄지면서 뜨거운 시선을 받지만 YG나 미스틱보다 먼저 PD 영입에 나선 엔터테인먼트 회사도 있다. 엑소와 소녀시대가 속한 SM엔터테인먼트(SM)와 그룹 AOA와 유재석이 속한 FNC엔터테인먼트(FNC)이다. SM은 KBS 예능프로그램 <안녕하세요>를 만든 이예지 PD를 영입해 다양한 시도를 해왔고 FNC 역시 지난해 SBS 드라마 <시크릿 가든>을 연출한 신우철 PD를 영입해 콘텐츠 제작에 집중할 계획을 알렸다.
# 콘텐츠 직접 제작 위한 포석
엔터테인먼트 회사들이 PD 영입에 적극 뛰어든 배경은 콘텐츠를 직접 기획, 제작하기 위해서다. 스타 매니지먼트가 가진 매출 한계를 뛰어넘어 예능과 드라마 제작사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한 포석이다. 특히 지상파부터 종합편성채널, 케이블채널을 넘어 웹을 기반으로 하는 웹 콘텐츠의 시장도 활성화되면서 직접 기획, 제작, 유통까지 맡으려는 분야의 확장이다.
이미 엔터테인먼트 회사들은 지상파 방송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작사 역할을 어느 정도 하고 있기도 하다. SM은 MBC가 방송하는 드라마 <미씽 나인>을 제작해 선보이고, FNC는 KBS 2TV 예능프로그램 <트릭 앤 트루>를 제작하고 있다. YG 역시 SBS <꽃놀이패> 제작에 참여하고 있다. 이들 프로그램은 저마다 시청자의 관심이 집중되는 ‘프라임 타임’에 편성돼 있다. 이미 어느 정도 경쟁력을 확보한 상황에서 지상파 출신 PD들이 합류해 내놓는 새로운 콘텐츠를 통한 사세 확장의 가능성도 크다.
실제로 YG의 경우 이를 위한 준비를 차근차근 해왔다. 2년 전 방송작가 유병재를 영입하면서 콘텐츠 제작 움직임을 시작했고 지난해 SBS 드라마 <달의 연인-보보경심 려>의 공동 제작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유력 PD들의 대거 영입을 통한 인적자원 확보로 콘텐츠 제작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에 더해 제작사 설립, 나아가 방송채널을 보유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현재 YG는 음반 제작과 매니지먼트를 넘어 한류단지 조성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막강한 자본력은 YG가 가진 또 다른 힘이다.
엔터테인먼트 회사들의 이 같은 움직임은 매출 증대 시도와 무관치 않다. 현재 엔터테인먼트사의 수익 모델은 대부분 자사 소속 스타로부터 나온다. YG 역시 회사 매출의 절대적인 부분을 그룹 빅뱅이 차지하고 있다. 특정 스타가 차지하는 높은 매출 기여도는 그만큼의 리스크도 높다는 의미다.
그에 반해 콘텐츠 제작에 따른 매출은 그 규모부터 다르다. 더욱이 엔터테인먼트 회사가 제작한 콘텐츠가 국내 방송에 머물지 않고 중국이나 일본 등 한류 시장에서도 성과를 낸다면 그에 따른 매출 극대화도 노려볼만 하다.
몸값 높은 스타들을 보유했다는 강점은 엔터테인먼트 회사가 가진 막강한 힘이다. 프로그램 제작이 제1의 관문으로 통하는 스타캐스팅에서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 SM에는 케이팝 열풍을 주도하는 아이돌 그룹이 대거 소속돼 있고 YG 역시 빅뱅을 비롯해 강동원과 차승원, 최지우 등 스타 배우들이 몸담고 있다.
제작 전면에 나서는 엔터테인먼트 회사들의 몸집 불리기로 인해 오히려 지상파 방송의 사정은 악화일로다. 특히 MBC는 YG로 이적하는 PD들이 현재 자사를 대표할 만한 간판 프로그램을 기획, 연출해온 인력들이란 점에서 방송사가 느끼는 위기감은 상당하다. 더욱이 종합편성채널이 개국하면서 자사 인력의 유출을 경험한 지상파로서는 향후 자체 제작과 외주제작 프로그램 비율 격차가 현저하게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지상파 관계자는 “케이블채널 tvN 등을 가진 CJ로 나영석, 신원호 PD 같은 실력자가 대거 유출했고 이후 종합편성채널로 이적한 스타 PD로 인해 지상파는 한동안 콘텐츠 개발난에 시달린 게 사실”이라며 “이번에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고 밝혔다.
이해리 스포츠동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