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0 법칙과 80:20 법칙
전체 원인의 20%가 결과의 80%를 좌우한다는 ‘파레토 법칙’과 이와는 정반대인 ‘롱테일 법칙’
‘파레토 법칙’을 사용한 대표적인 예는 백화점의 VIP 마케팅이다. 일반 고객들에 비해 적은 수의 VIP를 겨냥해 고가의 프로모션을 펼치는 것은 상위 20% 고객들의 구매력이 전체 매출의 80%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이 법칙은 다른 경우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20%의 범죄자들이 전체 범죄의 80%를 저지른다거나, 상위 20%의 우수한 사원이 전체 실적의 80%를 이뤄낸다는 식이다. 결국 이 20%의 요소에 집중하면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다. 이 법칙은 인력이나 공간이라는 물리적 요소가 그대로 수익과 연결되는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대형 마켓, 백화점 등)을 설명하는 데 적당하다.
그러나 인터넷 시대와 함께 ‘파레토 법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비즈니스 모델들이 속속 등장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쇼핑몰이나 틈새시장과 같은 비즈니스 모델이 그렇다. 조금씩 혹은 가끔 팔리는 비인기 내지 비주류 상품의 매출을 모두 합하면 인기상품을 능가한다는 뜻이다. 이것이 바로 인터넷 환경에서 등장한 ‘롱테일 법칙’이다.
일례로 오프라인 서점에서는 ‘파레토 법칙’에 근거하여 전체 매출의 80%를 차지하는 20% 베스트셀러를 위주로 책을 전시하고 배치한다. 그러나 ‘아마존 닷컴’이나 ‘이베이’와 같은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일반 서점과 같은 공간적이고 물리적인 한계가 무의미하다. 그 결과 일반 서점에서는 인기가 없거나 희귀해서 조금만 팔리는 책들의 총 매출이 베스트셀러의 매출을 능가하곤 한다. 매장관리에 드는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는 점과 검색기능을 이용해 희귀한 상품을 쉽게 찾아내고 주문할 수 있다는 쇼핑몰의 특징이 새로운 틈새시장을 만들어낸 것이다.
판매기회 손실=이익×3배
‘품절’이 야기하는 막심한 손해를 증명하는 유통업계의 공식
일본 최대 규모의 편의점 체인 ‘세븐일레븐 재팬’을 만들어낸 스즈키 도시후미 회장은 품절로 인한 판매기회 손실이 엄청난 손해를 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편의점이나 슈퍼를 경영하는 데 있어 어떤 제품이 얼마나 팔릴지 예상해 주문을 하고 재고를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 계산을 잘못해 손님들이 꾸준히 찾는 물건이 품절됐다고 하자. 이 상황을 단지 “어쩌다보니 물건이 다 팔렸다”는 변명으로 넘어가서는 안 된다.
찾는 물건이 품절되면 손님들은 다른 가게로 발을 돌리게 되고 그로 인해 다시 물건을 주문하는 데 드는 경비 등 제반 손실이 물건을 팔아 생기는 이익보다 세 배나 크다.
재고가 많이 남을 것을 염려하여 ‘알맞게’ 주문하는 것보다는 ‘넉넉하게’ 주문해두는 것이 일본 최대 규모의 편의점 체인 ‘세븐일레븐 재팬’을 만들어낸 스즈키 회장의 지론이다.
72÷연리(%)=원금 두 배 되는 시간
간단하게 복리계산을 할 수 있는 ‘아인슈타인의 72 법칙’
유명한 물리학자인 아인슈타인은 “20세기의 가장 큰 수학적 발견은 복리”라는 말을 남겼다. 그는 복잡한 복리 계산을 일반인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72 법칙’을 고안했다. 원금이 두 배가 되는 기간을 계산하기 위한 것으로 공식은 무척 간단하다.
예를 들어 연리 6%의 예금이라면 72÷6=12로, 원금이 두 배가 되기까지 12년이 걸린다는 뜻이다. 물론 이 법칙으로 아주 정확한 기간을 알 수는 없지만, 아주 간단한 계산으로 거의 오차 없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니 일상생활에서 활용도가 높다.
시카고엔 피아노 조율사가 몇 명?
‘마이크로소프트’ 입사시험에 등장한 ‘페르미 추정’
페르미 추정은 단번에 계산하기 힘든 문제에 대해 참신한 가정을 사용해 단시간에 대략적인 수치를 이끌어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해답에 도달하기까지의 과정이나 발상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으로 자주 활용된다. ‘마이크로소프트’나 ‘구글’의 입사시험에 페르미 추정을 이용한 문제가 등장해 화제가 됐고 최근엔 여러 기업체에서 신입사원을 채용할 때 활용하고 있다.
‘(시카고 인구가 300만 명이라고 할 때) 시카고에는 피아노 조율사가 몇 명이나 있을까?’라는 질문을 보자. 우선 ① 한 세대의 구성원은 평균 세 명이라는 가정에서 시작하면 300만 명÷3=100만 세대라는 결과가 나온다. 뒤이어 ② 피아노가 있는 집은 열 세대 중 한 집이다 → 100만 세대÷10=10만 대 ③ 평균 1년에 한 번 피아노를 조율한다 → 10만 대÷1=10만 번 ④ 피아노 조율사는 1년에 800대를 조율한다 → 10만 번÷800=125명과 같은 과정을 거쳐 답을 추론해낼 수 있다.
1분×1/2×1/2×1/2≒0
아주 작은 변화들이 쌓이고 쌓여 극적인 변화를 만들어낸다는 ‘도요타 자동차’ 공식
경영 혁신의 롤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도요타 자동차’의 경영철학의 기본은 끊임없는 개선이다. 이 경영철학의 아버지라고도 할 수 있는 오노 다이치는 ‘티끌 모아 태산’이 된다는 것을 실천을 통해 증명했다.
생산성 향상에 있어서 노동시간 단축은 중요한 과제였다. 그는 자동차를 만드는 각각의 공정에서 30초나 1분이라는 짧은 시간을 줄이려는 노력이 계속되면 결국에는 자동차 한 대를 만드는 시간 전체가 훨씬 줄어든다는 것을 증명했다. 즉 1분이라는 정해진 시간에 계속적으로 1/2를 곱하면 언젠가는 그 값이 한없이 0에 가까워지게 되고 생산성도 극적으로 향상되는 것이다.
개선 MAKE BETTER < 기술 혁신
‘마쓰시타 전기’의 창업자 마쓰시타 고노스케의 수학 공식
1955년 도요타 자동차의 이시하라 사장이 “자동차에 들어가는 시계의 비용을 70% 절감하고 싶다”며 마쓰시타 고노스케를 찾아왔다. 마쓰시타는 새 제품을 개발한다는 각오로 이 문제에 착수했고 그 결과 50%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즉 눈앞의 비용을 절감하려는 연구(개선)를 하기보다는 제로에서 시작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신기술(기술 혁신)을 만들어내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박영경 해외정보작가 world@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