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올림픽 조직위 내부에서 갈등의 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사진=청와대
2017년 9월 초 인사혁신처는 2016년 5급 공채 합격한 뒤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서 교육을 마친 60회 국가직 사무관 330명을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로 현장실습차 파견보냈다. 수습 사무관 국가직은 지방에서 현장실습을 치르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2017년에는 지난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수습 공무원이 투입된 것처럼 수습 사무관을 평창으로 현장실습차 보냈다. 60회 수습 사무관은 평창에서 실무감각을 익히고 평창올림픽이 끝나는 2018년 3월쯤 정부 부처에 배치받을 예정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들 수습 사무관들이 오히려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다는 게 내부의 목소리다.
이미 평창에는 수습 사무관을 제외하고도 공무원 500여 명이 파견 나가 있다. 그러다 보니 기존 인력과 수습 사무관의 마찰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한다. 한 내부관계자는 “올림픽 조직위는 어차피 해산되는 조직이기 때문에 수습 사무관들의 근무 태만이 심각한 수준”이라며 “그 이유는 수습 사무관을 관리할 인력이 없다. 이미 파견나온 매니저, 부매니저가 6급이라 5급 수습 사무관들에게 업무지시를 하기도 힘들다. 특히 조직위 내 호칭은 전부 매니저로 통일하기로 했지만 수습 사무관들은 위해 사무관 호칭을 사용하라는 권고사항이 들어올 정도로 특별 대우를 받고 있다”고 귀띔했다.
조직위 측에서는 “수습 사무관들의 공식 호칭은 매니저다. 명함에도 매니저라고 적혀 있다”며 “각 부서에서 뭐라고 부르는지까지 우리가 알 수 없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해명과 달리 수습 사무관들의 명함에는 앞서 내부관계자의 말처럼 사무관이라는 호칭이 적혀 있다.
해명과 달리 명함에는 사무관이라고 찍혀 있다.
수습 사무관과 기존 매니저 부매니저의 갈등 이외에도 단기 운용인력에 대한 부당대우와 낮은 처우도 심각하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한 단기인력은 “야근 수당에 시간제한을 두고 정해진 시간이 넘으면 지급하지 않도록 권고사항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며 “오래 일한 단기계약인력이 1년을 넘으면 장기계약으로 바꿔줘야 하지만 계약 해지 후 다시 계약하는 식의 비정상적 운용도 만연해 있다”고 말했다.
단기 운용인력은 박대하지만 파견 나온 공무원들은 정반대다. 이번 올림픽에서는 예산을 줄이기 위해 엄청난 인원이 동원됐다. 하지만 이들은 파견 공무원이기 때문에 추가로 받는 지원금이 상당하다고 한다. 일종의 ‘파견 수당’을 받는 셈이다. 단기 인력 입장에서는 억울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 같은 갈등은 앞으로 더욱 커질 전망이다. 평창올림픽에 역대급 공무원 파견이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지난 15일 기준 290여 개 지자체, 공기업, 기관에서 소속 공무원과 직원 등 7600여 명 파견이 예정돼 있다. 지금도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상황에서 인원만 추가해 혼란만 가중될 가능성도 높다.
평창올림픽 준비위 측에서는 “명함이나 부를 때 호칭을 어떻게 쓰는지는 각 부서에 따라 다르다. 갈등이 있다는 주장도 사실과 다르다“며 “계약직 직원 관련 사항은 파악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태현 기자 toyo@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