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 도포를 입고 검은 색 갓을 쓴 조선시대 양반들의 모습은 의젓하다 못해 당당하기까지 했지만 지금은 영화 속에서나 찾아볼 수 있을 따름이다. 갓은 삿갓 형이나 패랭이 형 모두를 통칭하는 것이지만 일반적으로는 흑립(黑笠)을 가리켰다. 입자(笠子)라고도 불린 흑립은 모자와 차양 부분이 구분된 패랭이 형으로 진사립(眞絲笠) 음양사립(陰陽絲笠) 음양립(陰陽笠) 포립(布笠) 죽저모립(竹猪毛笠) 마미립(馬尾笠) 등의 종류가 있으며 신분에 따라 쓰는 것이 달랐다. 또 시대에 따라 모양도 달라졌다.
옛날 총각들은 머리를 땋아서 길게 늘어뜨리는 일명 떠꺼머리를 하고 다니다가 결혼을 하거나 관례를 올리면 상투를 했다. 사마천의 <사기>에는 위만이 고조선에 들어올 때 상투를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고구려 고분벽화에서도 상투가 발견된다. 상투를 틀 때는 머리털을 끌어올려 정수리 위에서 틀어 감아 삐죽하게 만드는데 열을 발산시키기 위해 정수리부분의 머리는 깎아내고 나머지 머리만을 빗어 올려 틀게 된다.
사대부들은 상투 꼭지의 정상에 금 은 구리 등으로 만든 동곳을 꽂아 장식하고 상투관을 씌우기도 했다.
망건은 상투를 틀 때 머리카락이 흘러내려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머리에 두른 그물처럼 생긴 물건이다. 신분에 따라 망건에 달린 관자(貫子)와 풍잠(風簪)의 재료가 달랐다. 관자란 망건의 아랫당줄을 꿰는 고리로 지위에 따라 재료나 새김장식이 달랐다. 1품은 조각 없는 질이 좋고 작은 옥관자, 정2품은 조각 없는 소형 금관자, 종2품은 조각한 대형 금관자, 정3품은 조각한 대형 옥관자였다. 풍잠이란 망건의 앞부분 중앙을 꾸미는 장식품으로 갓을 고정하는 구실을 한다. 상류층에서는 대모 마노 호박 등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은 동물 뼈나 뿔을 사용했다. 양반들은 이 관자와 풍잠으로 머리 모양에 한껏 멋을 부렸다.
탕건은 조선시대에 벼슬아치가 망건의 덮개로 갓 아래에 받쳐 쓰던 것이다. 모양은 앞쪽이 낮고 뒤쪽은 높아 턱이 졌다. 집안에서는 탕건만을 쓰고 생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