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궁원 중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세계문화유산으로도 등록된 창덕궁 후원(비원)이 꼽힌다. 사각형의 연못 부용지가 주변 지형과 잘 어울리도록 조성돼 있다. 우태윤 기자 wdosa@ilyo.co.kr | ||
-송강 정철의 <성산별곡> 중에서-
한국의 정원은 한마디로 자연 그 자체였다. 자연이 정원이고 정원이 자연이었다. 철저하게 조형적인 서양의 정원은 차치하고 자연을 본떴다는 동양의 정원들 가운데서도 천하의 절경들을 복사한 듯한 중국 정원이나, 자연을 추상화해 재배치한 일본 정원과 달리 한국의 정원은 꾸민 듯 꾸미지 않아 자연 속에 그대로 녹아 들어간 그런 모습이다.
한 일본인이 한국의 대표적인 궁정 정원이랄 수 있는 창덕궁 후원(비원)을 다 둘러보고 난 후 “보여 준다던 정원은 어디 있느냐”고 물었다는 이야기는 참으로 적절한 에피소드가 아닐 수 없다.
모든 것이 다 그렇겠지만 한국의 정원에는 특히 한국인이 삶과 자연을 보는 태도와 방식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허균 님은 <한국의 정원-선비가 거닐던 세계>에서 “(한국)정원 조성의 배경은 인간은 자연 위에 군림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존재라는 관념과 지나친 기교와 인위를 싫어하는 한국인의 선천적 대의성이 함께 작용하였다”고 설명하고 있다. 한국의 정원은 자연의 있는 그대로를 정원 안으로 옮겨왔을 뿐이며 그 자연을 있는 그대로 즐길 수 있도록 정자나 계단 등 몇 가지 인공물을 가미했을 뿐이다. 또 계절의 변화를 그대로 느낄 수 있게 햇빛과 달빛, 비와 눈, 바람소리, 새나 나비, 곤충 등까지도 함께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 창덕궁 후원(비원)의 존덕정. | ||
한국의 정원에 비하면 중국 정원은 산을 쌓고 호수를 파는 등 대규모의 인위적인 미적 공간이 주경을 이루고 있다. 북경의 이화원은 우선 인공 호수와 인공 섬이 보는 이를 압도하거니와 소주의 졸정원(拙政園)은 기암괴석과 기화요초가 그림처럼 배치돼 있다.
그런가 하면 일본의 정원은 완벽한 구도를 추구해 돌 하나도 의미 없이 두지 않고 나무도 아름다운 균형을 위해 손을 댔다. 교토 료안지(龍安寺) 정원은 초목 한그루 없는 가는 자갈을 깐 장방형의 마당에 몇 개의 크고 작은 돌을 배치해 놓아 일본적인 미학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다.
자연과 혼연일체를 표방하는 한국 정원에도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왕실에서 만든 궁원(宮苑), 사대부들이 집안에 만든 향원(鄕園), 선비들이 집과 떨어진 곳에 별도로 만든 별서(別墅)정원, 경치 좋은 자연 속에 일궈진 산수임천(山水林泉)정원 등이다.
궁원 중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는 세계문화유산으로도 등록된 창덕궁 후원(비원)이 꼽힌다. 주변지형과 가장 잘 어울리도록 조성된 연못 부용지는 사각형으로 만들었으며 그 가운데 둥근 섬을 만들어 성리학적 우주관인 천원지방(天圓地方) 사상을 따라 음양의 조화를 꾀하고 있다. 또한 산기슭에서 나오는 자연 계곡 옥류천을 암반 위에 굽이쳐 흐르게 한 뒤 폭포를 만들었다. 후원의 꽃계단은 경사지를 그대로 이용해 계단식으로 축조하고 아름다운 꽃을 심고 주변엔 괴석 등을 배치했다. 또한 주변에는 취한정, 소요정, 태극정, 청의정, 농산정 등의 정자를 세워 자연경관을 두루 감상토록 했다.
▲ 선비의 고고한 품성이 엿보이는 담양 소쇄원. 일요신문 자료사진 | ||
아마 성산별곡의 서하당 식영정도 이러한 별서정원 속에 지어진 정자였을 것이다.
아름다운 한국 전통 정원으로는 이밖에도 부용동 정원(보길도), 다산 초당(강진), 윤증 고택(논산), 청암정(봉화), 무산십이봉 정원(진양), 농월정(함양), 방화수류정(화성), 암서재(괴산), 죽서루(삼척), 초간정(예천), 영모정(진안), 용연정(청도), 의상대(양양), 거연정(함양), 금선정(영풍), 독락당(경주) 등이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