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욱진미술관. 사진=경기관광공사
[일요신문] 건축은 시대를 조망하고 시대의 의식을 반영한다. 단순한 생활을 넘어 사람들의 삶 전반과 역사를 담아 낸다. 건축물이 주는 감상이 특색 있는 이유다. 새 봄을 맞아 개성 넘치는 건축물들로 봄 여행의 시작을 열어보면 어떨까. 여행을 시작하기 좋은 3월, 경기도 각 시군을 대표하는 건축물과 호흡하는 건축테마기행을 떠나본다.
경기도 양주시 부흥로엔 장욱진미술관이 있다. 장욱진은 박수근, 이중섭, 김환기와 함께 한국 근대미술을 대표하는 서양화가다. 아이와 가족, 나무와 새 등 일상 속 대상을 통해 내재된 정신적인 본질을 추구했다. 그래서 장욱진의 작품은 단순하면서도 대담하다.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은 순수한 내면세계를 추구한 장욱진의 업적과 정신을 기리고 한국현대미술의 발전을 위해 세워졌다. 야트막한 언덕 위에 자리 잡은 미술관은 “나는 심플하다”라고 말한 장욱진처럼 간결하다. 장욱진의 작품 ‘호작도’와 그의 집을 모티브로 설계했으며 중앙의 천정과 각각의 방들로 구성된다. 단순한 직선을 사용했으나 어느 하나 평행하지 않은 독창적인 모습과 점 하나 없는 순백색이 몽환적인 느낌을 준다. 2014년 ‘김수근건축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장욱진미술관이 위치한 장흥은 90년대 데이트 명소였다. 하루에 세 번 서울과 의정부를 오가는 교외선 기차가 장흥역에 도착하면 다정하게 손잡은 젊은 연인들이 쏟아져 나와 미술관, 막걸릿집, 작은 놀이동산을 가득 메웠다. 잊고 지낸 그 시절로의 짧은 추억여행을 추천한다.
판교 테크노밸리.
글로벌 IT산업의 미래, 첨단 ICT 융합의 메카, 최적화된 R&D 환경. 모두 판교테크노밸리를 일컫는 수식어다. 경기도와 중앙정부가 조성한 판교테크노밸리는 한화 테크윈, LIG 넥스원, NHN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기술혁신기업이 입주해있다. 첨단사업의 선두주자여서일까, 이곳의 건축물들도 기존의 틀을 깼다.
판교테크노밸리 건축투어의 시작은 판교역이다. 역을 나오면 ‘알파돔타워3’와 ‘크레프톤타워’를 잇는 기하학적 디자인의 연결통로가 시선을 잡는다. 마치 빌딩 사이를 비행하는 웅장한 우주선 같은 모습이다. 이곳에서 뾰족한 탑 모양의 개나리교까지 백화점, 음식점, 호텔 등이 들어서 있다.
특히 ‘판교역 1번가 맛거리’ 주변에는 식욕을 자극하는 맛깔난 음식을 선보이는 식당들이 가득하다. 다리의 상부는 탑 모양이고 길은 구불구불 멋지게 휘어진 개나리교는 직접 걸어봐야 더 새로운 곳이다. 다리를 건너면 테크노밸리의 본격적인 업무공간이 시작되는데 푸른 빌딩마다 새겨진 익숙한 기업의 로고를 찾아보는 것도 재밌다. 연구단지답게 빌딩을 오가는 회사원들의 복장은 자유롭다. 반듯한 네모 빌딩과 대비되는 판교테크노밸리만의 이색적인 풍경이다.
이천 에스파크.
이천 하면 떠오르는 것은 역시 쌀과 맑은 물 그리고 도자다. 이천은 조선시대부터 이미 백자 생산지로 이름났다. 풍부한 물자와 자원은 물론, 한양과 가까운 지리적 이점이 더해져 솜씨 좋은 도공들이 터를 잡고 품질 좋은 도자를 만들었다. 실용적이면서도 아름다운 이천의 도자가 왕실에서 쓰이며 ‘왕실의 도자’로 불리기도 했다.
예스파크는 이처럼 도자 역사가 유구한 이천 곳곳의 소규모 도자 공방과 업체를 한 곳에 모은 도자문화콘텐츠단지다. 현재 약 150여 개의 공방에서 예술가들이 꿈을 펼치고 있다. 도자공방 외에도 가구공예, 종이공예, 가죽공예 등 다양한 공방에서 전시, 교육, 판매가 진행된다.
도자예술마을인 예스파크에는 예술적 감성으로 채워진 아름다운 건축물이 가득하다. 오로지 건축물을 보기 위해 방문해도 좋을 정도다. 전통 이미지를 살리면서도 현대적인 느낌이 가미했는데, 특히 커다란 통기타 모양의 건물이 최근 SNS에 자주 등장한다. 이곳은 수제기타공방인 세라기타문화관으로 기타교실과 우쿨렐레 만들기 체험을 진행한다. 맞은편 건물에는 녹슨 철로 만든 말 모양의 외벽장식이 눈에 띈다. 곳곳에 숨은 건축물을 보며 산책하기에 이만한 곳이 없다는 평가다. 작은 공방에서 예쁜 찻잔을 골라도 좋고 아울렛에서 가족의 식기를 바꾸는 것도 좋은 선택이다.
은이성지.
용인시 양지면의 깊은 골짜기.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숨은 마을에 은이성지가 자리한다. 천주교 박해를 피해 숨어 살던 소년 김대건이 세례를 받은 곳이며, 사제가 되어 돌아와 사목활동의 근거지로 삼은 곳이다.
성지의 중심은 김가항성당이다. 오각형을 이루는 전면은 평평한 민무늬 벽과 중앙의 십자가 아래, 한자로 천주당이라 쓴 부분이 특이하게 느껴진다. 성당 하면 떠오르는 일반적인 이미지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다. 김대건 신부가 사제서품을 받은 중국 상하이의 김가항성당을 재현해낸 것이다. 상하이 정부의 개발계획에 따라 철거된 것을 상하이교구의 도움으로 옮겨 지은 것이다. 2016년 김대건 신부의 순교 170주년 기념으로 봉헌되었다.
김대건 신부의 생애를 닮은 소박하면서도 기품 있는 모습으로 2018년 경기도건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제23회 경기도건축문화상을 받았다. 성당 옆으로 한옥 모양의 김대건기념관과 목조건물인 사제관이 있다.
김장수 기자 ilyo22@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