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우리나라 금융시장이 충격에 휩싸이고 있다. 사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7년 11월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만나 악수하는 모습. 연합뉴스
# 전망, 최악은 피하겠지만
결국 타결이 될 것이란 낙관론과 크게 한번 붙을 것이란 비관론이 팽팽하다. 파국으로 치달을 경우 양측 모두 큰 피해가 불가피하다. 상당 기간 양측이 벼랑 끝 전술을 펼치며 금융시장 변동성을 키울 것이라는 데는 비교적 의견이 일치한다. 이번 무역분쟁이 내달 G20회의에서 정상 간 담판으로 봉합되더라도 두 나라 간 힘겨루기는 어떤 형태로든 계속될 수밖에 없다.
# 강한 경제에 베팅하라
환율은 상대적으로 경제의 힘이 더 강한 쪽이 강세다. 경제 펀더멘털은 중국보다 미국이 더 세다. 경제지표들도 미국 쪽이 더 양호하다. 달러가 강해지면 다른 통화들은 상대적 약세다. 신흥국의 경우 통화 약세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환차손 우려를 키워 자본이탈을 자극할 수 있다. 충분한 외환보유고와 지속적인 경상흑자 등이 바탕이 되지 않으면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
# 주식비중 축소를
미·중 양국이 관세장벽을 높이면 기업들은 원가부담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수요 약화에 직면할 수 있다. 세계 경제 성장률 둔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원가 악화로 실적이 나빠지는데 주가가 오를 리 만무다. 미국 기업은 달러 강세로 수입가격 상승 요인을 어느 정도 상쇄할 수 있다. 신흥국은 그 반대다. 중국 공장에서 만든 제품을 미국에 수출하는 기업들의 실적 둔화가 우려된다.
# 채권·금, 안전자산 관심을
안전자산 선호는 채권가격 상승(금리 하락) 요인이다. 하지만 펀더멘털이 약하면 채권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진다. 통화약세까지 겹칠 경우 해외자금 이탈로 금리가 더 오를 수 있다. 환율상승이 물가상승까지 끌어올릴 경우 설상가상이다. 신흥국에서는 자국 통화 약세에 대응하기 위해 금과 같은 안전자산에 관심이 커질 수 있다. 물가가 오를 때 물가연동 채권이 유리하다.
# 고래 등에 낀 새우 한국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높다. 주식·채권시장에서 외국인의 영향력이 큰 것도 부담요인이다. 환율이 중요한데 경상수지가 바로미터다. 최근 반도체 가격 하락으로 수출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경상수지 악화로 달러 공급에 대한 신뢰가 낮아지면 환율 상승 우려로 외국인 자금이 이탈할 수 있고, 이 같은 자금이탈이 다시 환율 상승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나타날 수 있다.
최열희 언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