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초저출산, 고령화 추세와 더불어 만혼과 비혼주의 확산으로 인해 인구구조에 상당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개별 가구의 소비 트렌드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KEB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공공 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내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소비 트렌드 변화’ 보고서를 발표했다. 서울 성동구 한양대학교 인근 원룸밀집지역 골목 전경. 사진=고성준 기자
지난 20년(1998~2018년) 동안 대한민국 인구의 평균 연령은 32.3세에서 41.7세로 늘어났으며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14.3%로 유소년 인구 비중 12.8%를 초과(2018년 기준)하는 등 인구구조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특히 30대 이하 가구주 비중은 1990년 57.3%에서 2015년 19.3%로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한 반면 50세 이상 가구주 비중은 15.2%에서 56.3%로 증가했다.
1인 가구 증가와 평균 가구원수의 감소는 가구소비 지출에 많은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 식료품 구입비용은 전체 가구 소비 지출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26.6%) 항목이었으나 2018년에는 14.0%로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반면 외식 및 숙박 지출 비중은 1990년 8.2%에서 2018년 14.0%로 증가했다.
가구의 교육비 부담은 사교육비의 증가로 인해 1990년 8.2%에서 2009년 13.8%까지 상승했지만 출산율 및 평균 가구원수의 꾸준한 감소로 인해 최근 그 비중이 7.2%(2018년 기준)까지 내려왔다.
이밖에 고령인구의 급증으로 보건관련 지출 비중은 1990년 6.3%에서 2018년 7.3%로 증가했으며 특히 60대 이상에서는 7.1%에서 11.3%로 상승폭이 가장 컸다. 황선경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향후 60~70대 인구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소비 지출에서 의료 및 보건관련 지출 비중은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교통비는 1990년 전체 소비 지출에서 7.9%를 차지했지만 최근 13.3% 수준(2018년)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통신비는 2.2%에서 5.3%로 늘어났다.
박형민 기자 godyo@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