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민주당 대표가 6월 3일 오전 국회 당대표 회의실에서 취임 인사차 예방한 미래통합당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웃으며 악수하고 있다. 사진=박은숙 기자
“4년 전엔 내가 이 자리에 앉아 있었는데.” 김종인 통합당 비대위원장은 6월 3일 이해찬 대표를 만나 과거 민주당 비대위 대표 시절을 언급했다. 당시 김 위원장이 휘둘렀던 칼날로 공천을 받지 못해 무소속 출마를 해야 했던 이 대표로선 ‘아픈 기억’이 되살아날 만한 발언이었다. 15분가량 이뤄진 만남은 비교적 화기애애했지만 묘한 긴장감이 흘렀고, 그 어느 때보다 스포트라이트가 쏠렸다. 둘 사이의 오랜 ‘악연’ 때문이었다.
이해찬 대표와 김종인 위원장의 첫 만남은 198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3대 총선을 앞두고 3선을 노리던 김종인 민정당 의원은 서울 관악을 지역구에 출사표를 던졌다. 앞서 두 차례 전국구(비례대표)로 배지를 달았던 김종인 위원장으로선 첫 번째 지역구 출마였던 셈이다. 초대 대법원장 김병로 선생의 손자였던 김 위원장은 노태우 정부 취임 준비위원을 맡는 등 정권 실세 중 한 명으로 꼽히던 정치인이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DJ)이 총재를 맡고 있던 평화민주당은 운동권 출신 이해찬을 김 위원장 저격수로 내보냈다. 이 대표는 민청학련 사건 구속, 서울대복학생협의회장 등 민주화운동 경력을 앞세우며 김 위원장과의 차별화를 노렸다. 동교동계 한 원로인사는 “DJ는 이 대표를 학생 시절부터 각별히 아꼈다”면서 “요새 말로 하면 금수저(김종인)와 흙수저(이해찬)의 싸움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전했다.
당시 관악을 지역은 여당 집권 세력 거물과 36세 청년 정치인 간 맞대결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대부분 김 위원장 승리를 점쳤지만 이변이 일어났다. 이 대표는 김 위원장을 불과 5000여 표 차이로 누르고 국회에 입성했다. 그 후 이 대표는 관악을에서만 내리 5선을 하면서 민주 진영의 대표적인 정치인으로 승승장구했다. 노무현 정부 땐 국무총리로 발탁되기도 했다.
불의의 일격을 맞은 김종인 위원장은 노태우 정부 때 보건사회부 장관과 경제수석을 거쳐 1992년 전국구로 3선 고지에 올랐다. 그 후 2004년(17대)과 2016년(20대)에도 비례대표로 국회에 진출했다. 비례대표로만 다섯 번이나 국회의원을 지냈던 김 위원장이었지만 단 한 번의 지역구 패배는 꼬리표처럼 따라다녔다. 또 국회의원 시절을 빼고는 대부분 중앙 정치권과 인연이 없었다. 정가에선 김 위원장이 13대 총선에서 승리했다면 정치 역정이 달라졌을 것이란 얘기가 나오기도 한다.
이해찬 대표와 김종인 위원장. 사진=박은숙 기자
김 위원장은 2004년 17대 총선을 앞두고 새천년민주당 선대위 공동위원장을 맡는 동시에 비례대표 2번으로 금배지를 달았다. 하지만 이 대표와는 정치적 무게감에서 차이가 컸다. 이 대표는 17대 총선에서 과반 이상을 차지한 집권당(열린우리당) 주류 친노의 핵심이었고, 노무현 정부 첫 국무총리였다.
2012년 김 위원장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삼고초려로 새누리당(미래통합당 전신) 국민행복추진위원장으로 ‘컴백’해 선거 전면에 나섰을 때 이해찬 대표는 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 전신) 대표였다. 대선 정국에서 여당과 1야당의 총사령관으로 다시 만난 것이다. 하지만 24년 만의 ‘리턴매치’는 불발됐다. 이해찬 대표가 ‘친노 패권주의’ 비판에 휩싸이며 2선으로 후퇴했기 때문이었다. 김 위원장은 대선을 승리로 이끌며 선거 전략가로서 재평가를 받았다.
둘의 인연은 2016년 문재인 당시 민주당 대표에 의해 이어졌다. 문재인 대표는 총선 승리를 위해 ‘박근혜를 대통령으로 만든’ 김 위원장을 비대위 대표로 영입했다. 그리고 공천 전권을 줬다. 김 위원장은 ‘패권주의’를 청산하겠다며 친노 좌장 이해찬 대표를 공천에서 배제했다. 한 친노 전직 의원은 당시 상황에 대해 “당선이 확실시됐던 이해찬의 컷오프를 두고 김종인의 사적 감정이 작용했다는 말이 파다했었다”라고 떠올렸다.
이해찬 대표는 김 위원장에게 반발하며 세종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해 승리했고, 당으로 복귀했다. 김 위원장은 이 대표의 복당에 적잖은 불만을 토로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김 위원장 측근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정치권 인사는 “(김 위원장은) 이 대표 복당을 반대했지만 통하지 않았다. 친노 세력으로 인해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여러 번 하소연했다”고 귀띔했다. 결국, 김 위원장은 2017년 3월 민주당을 떠났다. 돌아온 이 대표는 2018년 당 대표로 선출됐다.
여기서 끝이 아니었다. 지난 4월 총선에서 김 위원장은 미래통합당 총괄선대위원장으로서 선거를 이끌었다. 이 대표는 민주당 총선을 진두지휘했다. 직접 맞붙은 것은 아니었지만 양측의 전략가로서 일합을 겨뤘다. 이 대표는 1992년 조순 서울시장 캠프에서 전략을 맡은 이후,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 만들기에 일조했다. 김 위원장은 당을 바꿔가며 2012년 대선과 2016년 총선 승리를 이끌어냈다. 전국단위 선거에서 ‘수싸움’에 탁월한 역량을 발휘했던 두 사람이 21대 총선 길목에서 만난 것이다.
결과는 177석을 거둔 민주당의 대승. 김 위원장이 본격 뛰어든 시기가 총선 직전이라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둘 사이의 대결은 싱겁게 끝났다는 평가다. 하지만 김 위원장은 다시 한 번 기회를 잡았다. 미래통합당 비대위원장으로서 1야당의 재건 및 2022년 대선 밑그림을 그릴 예정이다. 이 대표는 오는 8월로 임기가 끝나지만 여권 차기 구도에 적잖은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다. 김태년 원내대표를 비롯한 친문 당권파의 좌장격인 이 대표 의중이 ‘포스트 문재인’ 주요 변수로 꼽히는 이유에서다.
정치권도 이 대표와 김 위원장의 ‘킹메이커’ 역할에 주목하는 모습이다. 민주당 한 중진 의원은 “30년 넘게 이어진 둘의 관계엔 현대 정치사가 그대로 반영돼 있다”고 말을 꺼낸 뒤 “정치현실이나 나이 등을 고려하면 다음 대선이 둘의 마지막 승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선거 전략가로서 모든 것을 쏟아 붓지 않겠나. 이 대표나 김 위원장도 서로를 의식하지 않을 순 없을 것이다. 둘의 개인 스타일이나 전략이 다음 대선에 어떻게 작용할지를 보는 것도 흥미로운 관전 포인트”라고 했다.
동진서 기자 jsdong@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