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코로나19로 경기가 크게 위축된 지난해 오히려 가계의 흑자 규모는 사상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해 4월 7일 서울 용산구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긴급재난지원금 관련 뉴스를 시청하고 있는 모습. 사진=일요신문DB
22일 통계청 가계동향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2인 이상 전국 가구의 흑자율은 1분기 32.9%, 2분기 32.3%, 3분기 30.9%, 4분기 30.4%로 모두 30%를 넘었다. 2003년 이후 작성한 가계동향 조사에서 가계가 30% 이상 분기 흑자율을 기록한 것은 단 다섯 차례에 불과하다. 이것도 2016년 4분기 30.3% 한차례를 제외하면 모두 지난해에 발생했다.
흑자율은 가계가 벌어들인 돈에서 소비와 지출을 하고 남은 돈의 비율을 의미한다.
지난해 가계의 흑자가 증가한 이유는 소득이 더 많았기 때문이 아니라 돈을 안 써서 혹은 못 써서 발생한, 이른바 불황형 흑자의 결과다.
소득 감소에 대한 두려움이 클수록 소비 지출 폭은 커진다. 현재 소득이 줄어드는데 따른 기계적인 지출 감소와 미래 소득의 불안정성을 대비한 예비적 저축 수요가 더해지면서 지출이 더 크게 위축되는 현상이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35만 8000원으로 3.7% 늘었지만 가계지출은 394만 5000원으로 4.9%나 감소했다. 가구당 평균 소득은 2분기에는 4.8%, 3분기에는 1.6%, 4분기에는 1.8% 늘었다. 가계지출은 2분기에 1.4% 늘어난 것을 제외하곤 3분기에 2.2%, 4분기에도 0.1%씩 줄었다.
정부가 지급한 보편·선별적 재난지원금도 영향을 미쳤다. 가계 평균 소득은 정부 지원으로 늘었는데 지출이 크게 줄어 흑자율이 올라갔던 것이다.
김예린 기자 yeap12@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