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이 22일 러시아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V’에 대한 자료를 수집 중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러시아산 스푸트니크V 코로나19 백신. 사진=연합뉴스
양동교 코로나19 예방접종추진단 자원관리반장은 지난 22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에서 “식약처와 외교부를 중심으로 스푸트니크V 백신의 안전성 자료 외에 국외 허가·승인 및 접종 현황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 반장은 “현재는 자료 수집과 국외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 단계”라면서 “기업체에서 식약처에 허가 신청을 진행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5일 식약처는 외교부에 스푸트니크V 백신을 접종하는 12개 국가의 혈전 발생 등 안전성 정보를 수집해줄 것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식약처는 스푸트니크V 백신의 경우 다른 제약사에서 개발한 백신에 비해 통상적 절차로는 정보 접근이 쉽지 않아 단순 모니터링을 위해 공문을 발송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식약처에 스푸트니크V 백신에 대한 품목 허가가 신청된 것은 아니다.
당국의 이런 움직임은 문재인 대통령이 스푸트니크V 백신 도입 가능성을 점검하라고 지시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오전 기자단 설명회에서 “신규 백신 허가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중”이라며 “허가청(식약처)이 다수 데이터를 확보해 분석하고 있어 종합 판단하려 한다. 유럽의약품청(EMA)의 허가 절차 결론이 조만간 나오면 이를 보고 허가청 의견도 참고할 것”이라고 전했다.
스푸트니크V는 러시아가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으로 아스트라제네카나 얀센과 같은 바이러스 벡터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효능은 97.6%다. 스푸트니크V 사용을 승인한 국가는 60여 개국으로 알려져 있으나 안전성 문턱이 높은 유럽이나 미국·캐나다 같은 북미 국가에서 사용이 승인된 사례는 아직 없다. 국내에선 컨소시엄 2곳이 이 백신을 위탁생산하기 위해 러시아 국부펀드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하지만 국내 사용 용도가 아니라 수출을 전제로 해 국내 사용을 위해서는 식약처의 허가가 필요하다.
강은경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