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화되지 않은 정물: 61×45cm Acrylic on canvas 2020
“마술 같은 순간성의 이미지.”
인문적 지식과 교양을 갖춘 인상주의 화가 에드가 드가는 사진을 이렇게 말했다. 당시 얼리 어댑터로 통했던 드가는 사진술의 발명을 예견했고 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인상주의 회화가 서양 회화의 오래된 전통으로부터 벗어나 전혀 다른 길을 개척하게 된 데는 사진의 등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1838년 루이 다게르가 사진의 발명을 상세하게 발표한 순간부터 사진은 시각예술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현실을 순식간에 똑같이 복제하는 능력을 보여주는 사진의 힘은 당시 화가들에게 그야말로 충격이었다. 당장은 초상화 화가들의 밥그릇을 빼앗아버렸고 회화의 근간을 흔들어놓았다.
회화는 눈앞에 보이는 현실을 똑같이 재현하는 것을 존재의 이유로 삼아 발전했다. 그래서 평면을 공간으로 느낄 수 있도록 원근법을 창안해냈고, 명암이나 질감 같은 기법도 개발했다. 이 덕에 회화는 실제와 똑같이 현실을 재현하는 예술로 최고의 대접을 받아왔다. 착시 현상을 통해서. 예술사에서는 회화의 이런 기술적 완벽성을 환영주의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객관화되지 않은 정물: 66×130cm Acrylic on canvas 2019
그러나 사진술의 등장은 미술의 환영주의를 순식간에 무력화했다. 회화가 계속 살아남으려면 현실 재현이 아닌 새로운 길을 모색해야 했다. 그래서 현실 재현 아닌 미술만이 할 수 있는 영역으로 나아가는 길을 모색하게 되었다. 추상화의 등장이 대표적이었고, 대상을 묘사하지 않는 미술이 새로운 대안으로 각광받게 됐다.
이와 더불어 환영주의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회화의 본질에 접근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인상주의 회화가 대표적이었고, 사진 영역과는 다른 현실을 보여주었다.
그 중 회화를 착시 현상이 아닌 물리적으로 분석하려는 새로운 시각이 돋보였다. 신인상주의를 만든 쇠라는 빛을 점으로 표현하는 회화 원리를 창안해 점묘법을 만들었고, 현대미술의 아버지로 불리는 세잔은 원통, 원추, 구로 세상 현실을 표현해 회화만의 고유한 세상을 보여주었다.
산: 73×50cm Acrylic on canvas 2020
회화를 더욱 물질적으로 보려는 시도도 있었다. 그림이란 천이나 종이 위에 물감을 붙이는 물질적 현상이라고 해석하는 움직임이었다. 이런 작가들이 택한 방법은 물감의 속성을 최대한 드러내 거친 질감으로 회화만이 만들어낼 수 있는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일이었다.
정기준도 이런 맥락으로 작업을 한다. ‘토마토 작가’로 알려진 그는 토마토를 주로 그린다. 환영주의에 입각해 사진처럼 묘사하는 토마토와 함께 토마토의 내용물이 으깨져 보이는 추상적 이미지를 물감의 거친 재질감으로 한 화면에 그린다.
정기준은 이런 작업으로 착시 현상을 추구하는 회화의 전통성과 물리적 접근에 의한 회화성의 물질성을 동시에 보여준다. 이를 통해 회화의 본질이 무엇인지 묻고 있다.
비즈한국 아트에디터인 전준엽은 개인전 33회를 비롯해 국내외에서 400여 회의 전시회를 열었다. <학원>, <일요신문>, <문화일보> 기자와 성곡미술관 학예실장을 역임했다. <화가의 숨은 그림 읽기> 등 저서 4권을 출간했다. |
전준엽 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