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전여빈은 넷플릭스 영화 ‘낙원의 밤’에서 시한부 삶을 사는 총잡이 재연 역으로 한국 누아르 여성 캐릭터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호평을 받았다. 사진=넷플릭스 제공
전여빈은 4월 9일 넷플릭스로 공개된 영화 ‘낙원의 밤’에서 전직 러시아 마피아 출신의 무기상 삼촌과 단둘이 사는 시한부 환자 재연 역을 맡았다. 불우한 가정사, 범상치 않은 친척, 시한부, 그리고 뼈를 깎는 노력 끝에 손에 얻게 된 백발백중의 사격 실력까지. 어찌 보면 과하다고 볼 수 있는 설정이 뭉쳐졌지만 그럼에도 전여빈의 재연은 ‘튀지’ 않는다. 결코 넘치지 않는 감정의 완급 조절과 스크린 너머 관객마저 압도하는 그의 눈빛이 캐릭터에게 납득할 수밖에 없는 설득력을 안겨주는 덕이다.
“마지막 신에서의 눈빛이라든가 이런 걸 보면 이 친구의 몸짓이 격하지 않게 느껴질 수 있어요. 그 장면을 촬영할 때 함부로 들뜨지 않고, 감정의 무게 중심이 발끝에 머물지 않게 하면서 ‘나의 마음이 불타고 있다. 그렇지만 이 불을 최대한 억누르면서 한 곳으로 응축시켜 에너지를 뿜어내자’는 마음가짐으로 임했던 것 같아요. 그 불이 제 손 끝, 제 총이었던 거죠. 그런 마음가짐을 계속 가지고 있다 보면 몸에 반응이 와요. 손이 부들부들 떨리고, 땀도 나고, 막 어질어질하고 몸도 바들바들 하죠(웃음). 울분이 마구 차오르지만 절대 뜨거운 눈물을 흘리지 않겠다. 왜냐하면 난 이걸 완수해야 하니까. 그렇게 믿으면서 촬영한 것 같아요.”
전여빈은 tvN 금토 드라마 ‘빈센조’에서는 송중기와, ‘낙원의 밤’에서는 엄태구(왼쪽)와 각각 호흡을 맞췄다. 사진=넷플릭스 제공
“박훈정 감독님이 ‘마녀’에서 총기를 많이 사용하셔서 자세를 잘 아시더라고요. 제가 좋은지 안 좋은지 단번에 아세요(웃음). 총격 신은 한 번에 찍었는데 찍고 나니 몸이 너무 아팠어요. 총을 정말 많이 쏴서 쏠 때마다 생기는 반동을 다 제 몸으로 견뎌내야 했거든요. 마지막에 집에 갈 때쯤 팔다리가 후들거려서 걷지를 못하겠더라고요(웃음). 그런데 저는 좋았어요. 다 끝내고 난 다음에 그런 몸 상태가 됐다는 건 제가 모든 걸 다 쏟아 부었다는 거니까요.”
‘낙원의 밤’에서 재연은 조직으로부터 배신당해 도망자 신세가 된 태구(엄태구 분)와 이성 관계를 떠나 서로에게 자신을 투영하며 깊은 동지애를 느끼게 된다. 작품 밖의 전여빈과 엄태구도 그랬다. 박훈정 감독을 매개(?)로 한 이들의 관계는 고된 촬영을 거듭하면서 끈끈해졌다고 했다.
“원래 태구 오빠는 영화 ‘밀정’ 때 제가 단역으로 출연하면서 처음 봤어요. 그때는 그냥 간단하게 서로 인사만 하고 이야기를 나누진 못했죠. 그랬는데 나중에 오빠가 ‘죄 많은 소녀’ 영화를 보시고 저를 배우로서 좋게 생각했나 봐요. 다시 만났을 때 ‘영화 너무 잘 봤다’고 그러더라고요(웃음). 박훈정 감독님이 태구와 재연이로 저희를 캐스팅해 주신 게 감독님으로 도전이었기에, 저희는 감사한 마음이 컸어요. 그래서 서로가 결연한 의지를 나눴죠(웃음). 그래서 감독님을 주축으로 세 명의 단단한 관계가 생겼어요.”
사진=영화 ‘낙원의 밤’ 스틸컷
‘낙원의 밤’에서 함께한 엄태구의 이야기가 나왔으니, tvN 드라마 ‘빈센조’의 상대역 송중기에 대해서도 묻지 않을 수 없었다. “너무나 좋은 사람을 만났기에 저도 그 에너지를 얻어 같이 잘할 수 있었다”는 감사의 말이 먼저 나왔다.
“저는 옆 사람들에게 에너지를 잘 얻는 사람이에요(웃음). 그래서 좋은 선배님들을 만나게 돼서 참 다행이라고 생각했죠. 두 분 다 집중력이 굉장히 뛰어나시고, 연기에 모든 걸 쏟아 붓는다는 게 느껴져요. 그걸 보며 ‘이미 훌륭한 배우인데도 계속해서 애를 쓰시는 구나. 나도 무뎌지지 않고 더 노력하고 싶다’는 자극을 받게 되죠. 다른 점이 있다면 태구 오빠는 조용하게 속으로 집중하고 에너지를 응축하는 스타일이라면, 중기 선배님은 그 에너지를 발산하면서 자꾸 만들어가는 형인 것 같아요. 그렇게 다르지만, 연기에 대한 사랑은 같은 사람들이라고 생각해요.”
그렇다면 전여빈이 바라본 자신의 모습은 어땠을까. 대중들이 매번 그의 작품 속 새로운 얼굴을 보며 놀라는 것처럼 전여빈에게도 객관적으로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는 것이 늘 새롭고 놀라운, 그래서 더욱 행복한 일이라고 했다. 그렇기에 계속해서 배우의 길을 걸어 나가는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이제까지는 제 얼굴이 어떤지 몰랐는데, 이 일을 하면서 웃는 모습이 카메라에 찍힌 걸 보고 깜짝 놀랐어요. 내가 저렇게 밝게 웃는 사람이구나 하고 놀랐던 것 같아요(웃음). 사실 자기가 웃거나 화났거나 그럴 때 음성, 눈빛이 어떤지 보통 사람들은 잘 모르잖아요. 내 모습보단 내 앞의 사람의 눈빛이나 목소리, 행동을 더 많이 보죠. 저도 작품이 나올 때마다 제 모습을 보고 놀라요. ‘저런 표정을 짓는구나’ 하고(웃음). 제 스스로의 모습보다는 제가 마냥 상상으로만 그렸던 얼굴의 모습이 스크린으로 구현됐을 때, 그리고 그게 훨씬 좋게 느껴질 때가 너무나 행복해요.”
김태원 기자 deja@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