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하늘 별똥별처럼 아름다운 전통 금속공예의 꽃
‘입사’란 그릇 또는 함 등의 금속 표면에 홈을 파고 금이나 은으로 만들어진 실이나 판을 박아넣어 점, 선, 무늬 등을 장식하는 공예 기법을 말한다. 입사를 우리말로는 ‘실드리다’라고 표현하는데, 이러한 입사 기술 또는 그 기술을 가진 사람을 ‘입사장’(入絲匠)이라고 부른다. 특히 입사를 ‘은실박이’ 또는 ‘은입사’라 칭하기도 하는데, 이는 금속 표면에 주로 은실을 박아 문양을 장식한 데서 연유한 것이다. 앞서 소개한 고려시대의 물병에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청동 재질의 ‘목이 긴 물병’(정병)에 은으로 입사를 하여 갈대와 수양버들, 강가의 물새 등의 모습을 묘사해 냈기 때문이다.
입사 공예의 유래는 정확하지 않으나, 기원전 1, 2세기경의 낙랑 출토 유물을 보면 당시 이미 우리나라에 고도로 발달한 입사 기술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삼국시대 고리자루칼 등의 유물에서는 매우 정교하고 세련된 입사 기술을 볼 수 있고, 특히 고려시대에는 입사 기법이 화려한 불교문화와 융합되어 향로, 향합(향을 담는 합), 향완(향을 담는 그릇), 정병 등의 제작에 널리 쓰였다. 이때의 대표적인 입사 작품으로 국보인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을 꼽을 수 있다. 이 향완은 넓은 윗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있는 6개의 원 안에 ‘범’(梵) 자를 은입사하고 그 사이사이를 구름무늬로 장식하는 등 당시의 세련된 입사 기예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조선 중기에 이르면서 입사 기법은 커다란 변화를 맞게 된다. 고려시대까지 쓰였던 입사는 바탕 금속에 홈을 내고 금속을 끼우는 ‘끼움입사’ 방식이었다. 반면, 조선시대에는 금속 바탕을 촘촘히 쪼아 거스러미(나무의 결, 금속 표면 따위가 가시처럼 얇게 터져 일어나는 부분)를 일으키고, 그 사이에 은실이나 금실 등을 박는 ‘쪼음입사’ 방식이 생겨나 널리 쓰이게 된 것이다. 이것은 입사를 하는 주요 바탕 금속의 재질이 청동에서 철 위주로 바뀌면서 무늬를 새겨 넣는 기술이 변화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사 무늬의 표현 방법, 내용 등에서도 이전과 상당한 차이를 보이게 되었다.
실제로 조선시대에는 인검(국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벽사호신용 보검) 등의 궁중 용품은 물론, 일상생활에 쓰이는 그릇이나 화로, 촛대 등에도 입사가 활용될 정도로 입사 제품의 범위와 품목도 다양해졌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입사 유물로는 보물인 ‘은입사귀면문철퇴’가 꼽힌다. 이 철퇴는 고위직이 지녔던 의장용 무기였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연봉오리(깃봉) 형태에 도깨비 문양인 ‘귀면문’이 쪼음입사 기법으로 표현돼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기관에 입사장을 배속시켜 그 기예를 계승하고 왕실과 국가에서 필요한 작품을 충당하도록 했다. 법전인 ‘경국대전’의 공장조에 따르면, 공조에 2명, 상의원에 4명의 입사장이 소속돼 활동한 것으로 나타난다. 영조와 정순왕후의 혼례 과정을 담은 ‘가례도감의궤’를 보면, 왕실 혼례에 필요한 물건들을 제작한 입사장과 그들이 사용한 재료와 도구까지 상세히 기록돼 있다.
우리 전통 입사는 서로 다른 금속을 땜 없이 결합시키는 기술이다. 입사공예품은 기물의 금속 표면을 쪼으고 정돈하는 바탕작업, 은실 또는 금실을 그 표면에 박아 넣어 다양한 선과 무늬 등 문양을 만드는 은실박이 작업, 기물에 광을 내는 마무리 작업 등 크게 세 가지 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우리 전통 입사 유물을 살펴보면, 점과 선, 면이 함께 어우러져 섬세한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다. 시조시인 유재영은 ‘다 못 쓴 시’에서 가을날 밤하늘에 “금 긋고 가는 별똥별”의 찬연한 모습을 ‘은입사’에 비유하기도 했다.
입사는 19세기까지 조선의 대표적인 금속공예로서 민간에서도 널리 사랑을 받았다. 구한말에는 외국인들이 우리 입사 공예품에 매료되어 이를 수집하는 일도 잦았다고 한다. 그러나 조선 왕조의 몰락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우리 입사 기예는 거의 사장될 위기에 처한다. 당시 전통 입사는 이왕직미술품제작소의 몇몇 장인을 통해 겨우 명맥이 이어졌는데, 광복 이후에도 상황은 호전되지 않았다.
잊혀가던 전통 입사 공예의 맥을 되살리는 데 기여한 이는 현 입사장 기능보유자인 홍정실 선생이다. 홍 보유자는 초대 입사장인 이학응 선생의 제자로, 입사 기예를 이어받는 데 그치지 않고 관련 자료를 수집, 정리해 1983년 문화재청에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문화재) 지정을 신청함으로써 입사가 후대에 전수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특히 홍 보유자는 대학교수로선 최초로 1996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인정되었는데, 활발한 작품 및 학술 활동으로 입사의 전승과 교육, 그리고 입사공예의 현대화 및 세계화에 공헌하고 있다.
자료협조=문화재청
-
꼭 지켜야 할 우리 유산 [72] 국가무형문화재 ‘밀양백중놀이’
온라인 기사 ( 2022.08.09 14:05 )
-
꼭 지켜야 할 우리 유산 [73] 국가무형문화재 ‘한복생활’
온라인 기사 ( 2022.09.13 16:56 )
-
꼭 지켜야 할 우리 유산 [75] 국가무형문화재 ‘진도씻김굿’
온라인 기사 ( 2022.11.23 14: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