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지지 후보 없다’ 비율 가장 높아…이재명 ‘주거 문제’ 윤석열 ‘공정’ 내세워
“뽑을 사람이 없다.” “이재명 윤석열 둘 다 싫다.”
내년 3월 대선에서 누굴 뽑을 것이냐는 질문에 2030 세대가 흔히 하는 답이다. 여야 모두 2030 민심 잡기에 주력하고 있지만, 이들의 마음은 좀처럼 열리지 않는 모습이다. 2030 유권자는 전체 유권자 중 3분의 1(1400만 명)에 달하는데 상당수는 여전히 마음을 정하지 못한 부동층으로 분류된다.
11월 9일 아시아경제가 윈지코리아컨설팅에 의뢰해 실시한 후보 적합도 여론 조사에서 ‘적합한 후보가 없거나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20대에서 20.1%, 30대에서 18%를 차지했다. 다른 세대에서는 모두 10% 미만을 기록했다.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도 ‘지지 정당이 없거나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20대에서 21.1%, 30대에서 20.9%를 기록했다. 40대 12%, 50대 11.7%, 60대 이상 9%에 비해 높은 수치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하 동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경선에서 승리하긴 했지만 2030 투표 결과에서는 경쟁 후보(이낙연·홍준표)에게 밀린 것으로 전해졌다. 두 후보 모두 2030 표심을 잡아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셈이다.
더 다급한 쪽은 이재명 후보 쪽으로 보인다. 2030 민심에서 윤석열 후보가 이 후보를 더블스코어로 앞서는 지지율 나왔다. 11월 6일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TBS 의뢰로 실시한 차기 대선후보 지지도 조사 결과, 18~29세 연령층에서 34.3%가 윤 후보를, 14.7%가 이 후보를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이 결과에 윤 후보도 마냥 웃을 처지는 아니다. 11월 5일 전당대회 이후 2030 당원들의 탈당 러시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홍준표 의원을 지지했던 2030 세대가 경선 결과에 불만을 품고 당을 떠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민의힘은 11월 9일 전당대회 이후 총 6500여 명(책임당원 3000명, 일반당원 3500명)이 탈당했다고 밝혔다. 이 중 2030세대는 전체의 70% 수준으로 전해진다.
이 때문에 두 후보 모두 최근 청년과의 교류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 후보가 11월 2일 중앙선대위 출범 이후 잡은 외부 공개 일정 17개 중 10개가 청년 관련 행사로 집계됐다. 윤 후보의 본선행이 확정된 11월 5일 이후부턴 청년 주거 및 가상자산 정책과 관련된 현장 일정을 집중적으로 소화했다.
이 후보는 11월 8일 선대위 회의에서 친여 커뮤니티 ‘딴지일보’에 게시된 ‘2030남자들이 펨코(에펨코리아)에 모여서 홍(홍준표)을 지지한 이유’라는 글을 공유하기도 했다. 이 게시글은 2030 남성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선 문재인 정부의 페미니즘과 거리를 둬야 한다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이날 이 후보는 여성가족부를 평등가족부 또는 성평등가족부로 바꾸고 기능을 조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윤 후보는 경선 다음 날인 11월 6일 이준석 대표와 회동했다. 청년 당원들의 지지를 받고 있는 이 대표를 통해 청년 끌어안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윤 후보는 회동 직후 ‘대한민국 청년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피선거권 연령을 18세로 낮추는 선거법 개정에 동의했다.
청년층을 공략하기 위한 공약 경쟁도 치열하다. 이 후보는 청년 주거를 해결하기 위해 대통령 임기 내 공급할 기본주택 100만 호 중 일부는 청년들에게 우선 배정하겠다고 약속했다. 당 차원에서는 소득 하위 60% 청년에게 월 20만 원가량 전·월세금을 지원하는 법도 연내 처리할 방침이다.
윤 후보는 ‘공정’ 가치를 강조한 교육 정책을 내세웠다. 대학 입시 제도를 단순화하고 정시 비율을 확대 조정하겠다고 공약했다. ‘조국 사태’ 등으로 불거진 청년들의 공정 화두를 선점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청년층을 위한 현금지원 정책에서도 두 후보 공약은 차이를 보인다. 이 후보는 연 200만 원의 청년기본소득을 공약했다. 2023년부터 19~29세 청년들에게 연간 100만 원의 청년기본소득을 지급한다. 보편 기본소득(연 100만 원)과 합하면 임기 말에는 1인당 200만 원을 지급할 수 있다는 계획이다. 윤 후보는 취약 청년층을 상대로 최대 8개월 월 50만 원의 ‘청년도약 보장금’ 지급 공약을 밝혔다.
일각에서는 두 후보가 미봉책이 아닌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두 후보가 내놓은 공약들은 언 발에 오줌 누기 식이다. 문재인 정부에서 직격탄을 맞은 세대가 2030세대다. 일자리, 부동산 문제 등을 해결할 근본적인 토털 솔루션을 제시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이종훈 평론가는 “윤 후보는 아재, 딱 꼰대 이미지다. 술 좋아하고, 집보다는 회사다. 이 후보는 형수 욕설, 여배우 스캔들 때문에 여성들이 비호감을 가질 수밖에 없다. 둘 다 이미지 보완이 쉽게 되진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설상미 기자 sangmi@ilyo.co.kr
-
[단독인터뷰] 명태균 부인 “이준석 때문에 우리 일상 다 망가져”
온라인 기사 ( 2024.11.21 18:56 )
-
‘윤석열 OOO 단속도 못해서…’ 한동훈 가족 이름 국힘 당원게시판 글 파문
온라인 기사 ( 2024.11.15 21:34 )
-
‘검사 출신’ 김웅, 이재명 유죄 판결문 해석 눈길
온라인 기사 ( 2024.11.15 1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