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초의 미술사 통사가 발간된 것은 1929년. 우리나라 미술사를 전 시대와 전 지역에 걸쳐 통사형식으로 기술한 책 '조선미술사'가 그 주인공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책을 쓴 사람은 한국인이 아닌 외국인 그것도 독일인 신부다.
일제강점기 한국으로 와 식민 지배 아래 사라질 위기에 처한 조선의 문화재를 지키고 기록한 독일인 '안드레아스 에카르트'의 삶을 조명한다.
에카르트를 지칭하는 수식어만 봐도 한국에 대한 그의 관심이 얼마나 대단했는지 알 수 있다. k-컬쳐가 전 세계의 극찬을 받는 지금 100여 년의 세월을 건너 그가 한국을 위해 남긴 애정 어린 기록들을 들여다본다.
1909년 남자 수도회로서는 처음으로 조선에 진출한 독일의 성 베네딕도회. 6명의 젊은 독일 신부들이 부푼 기대를 안고 조선에 도착한다. 교육 선교를 목표로 조선에 온 이들은 숭공학교, 숭신학교를 지어 기술자와 교사를 양성하고자 한다.
안드레아스 에카르트는 숭신학교의 교장을 맡아 학교에서 쓸 교과서까지 손수 집필할 정도로 열정을 쏟지만 이듬해 1910년 일제강점기가 시작되고 사립학교에 대한 일제의 탄압이 심해지면서 선교보다 우선 되어야 할 다른 사명에 눈을 돌리게 된다.
선교사가 되기 전 뮌헨 대학에서 고고학과 미술학을 전공했던 에카르트는 피지배국의 유물이 되어 파괴와 약탈에 노출된 조선의 문화재를 손수 찾아다니며 하나하나 사진과 그림으로 기록하기 시작한다.
에카르트의 관심은 한글, 문학, 음악, 미술, 건축, 식물까지 분야를 막론했을 뿐만 아니라 그의 기록을 본 사람들은 그 꼼꼼함과 압도적인 양에 놀라게 된다. 평안도의 강서대묘 조사 작업에 직접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폐허가 된 석굴암의 복원을 제안하기도 하는 등 그가 남긴 흔적은 조선 전역에 남아있다. 20여년에 걸쳐 방대하게 수집하고 정리된 그의 기록들을 톺아본다.
독일로 돌아간 후에 에카르트는 자신의 기록들을 모아 1929년 '조선미술사'를 독일어와 영어로 동시에 출판한다. 이 책은 세계미술사에 조선의 존재를 알리는 큰 계기가 된다.
공교롭게도 일본 학자 세키노 다다시도 3년 뒤 1932년 같은 이름의 책을 내지만 두 책이 조선 미술을 바라보는 관점은 크게 갈린다. 조선 미술을 중국 미술의 영향 아래 발전한 아류 문화로 보던 일본과 달리 한국의 독창성과 절제미를 강조한 에카르트의 기록은 일본, 중국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한국 문화만의 자주성을 널리 알리는 소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국립 민속 박물관이 2년에 걸쳐 복원한 '삼국지연의도'는 에카르트의 '조선미술사'에 기록된 원본 그림을 고증으로 복원에 성공할 수 있었다.
이민재 기자 ilyoon@ilyo.co.kr
-
"그분이 오신다" 남궁민 등판 소식에 금토드라마 시장 술렁
온라인 기사 ( 2024.10.31 15:19 )
-
‘영상 퀄리티 엄청나다’…‘흑백요리사' 스타 ‘급식대가’, 유튜브 데뷔 화제
온라인 기사 ( 2024.09.26 22:22 )
-
‘1등만 기억하는 세상은 지났다’ 대중은 왜 에드워드 리 셰프에게 매료됐나
온라인 기사 ( 2024.10.18 1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