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월 27일 개봉한 영화 ‘한산: 용의 출현’에서 김성규는 항왜 ‘준사’ 역을 맡았다. 기록에 따르면 준사는 ‘한산: 용의 출현’의 시대적 배경인 한산도대첩 직후에 벌어진 안골포해전에서 패한 뒤 조선으로 귀순하지만, 이 작품에서는 한산도대첩 직전 투항하는 것으로 각색했다. 자신의 조국이 일으킨 전쟁의 의(義·옳음)와 불의(不義·그름)를 고민하고 이를 가르는 기준이 절대적인지 상대적인지에 대한 물음과 답을 관객들에게 던지는 작품의 또 다른 화자이기도 하다.
“전란 속에서 한 인간의 고민은 당연히 있을 수밖에 없었겠죠. 제가 맡은 인물은 일본의 사무라이로서 자신이 모시는 주군을 배반하고 새롭게 이순신이란 장군에게 자신의 운명을 맡겨요. 관객 분들이 그 고민을 따라가고, 왜 이순신에게 항왜를 하게 되는지를 자연스럽게 보실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계속 안고 연기를 했던 것 같아요. 이 전란 속에서 죽음이란 게 뭔지, 그걸 바라보는 이순신 장군의 생각과 신념이 제일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하면서 인물의 이야기를 풀어나가려고 했죠.”

“사실 외형을 바꾼다는 게 저한테 있어서 걱정되는 지점은 아니었어요. 그전에도 워낙 외형적으로 변화가 있는 작품을 많이 했거든요(웃음). 처음 피팅하고 메이크업 할 때부터 ‘(머리를) 자를 거면 빨리 자르자’ 그런 마음이었어요. 그래야 전투에 참여하는 무게감이 느껴질 것 같아서요. 그런데 머리가 너무 산발이어서(웃음)…. 이 상태로 연기를 자칫 어설프게 했다간 캐릭터가 우스워 보이는 결과가 나올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더 집중해서 찍었던 기억이 나요. 고충이 하나 있었다면 저희가 여름에 촬영해서 (민머리 부위에) 화상까진 아니고 탄 자국이 조금(웃음). 아, 머리는 다 삭발한 뒤에 옆에만 가발을 붙였던 거예요. 가운데만 밀었으면 저도 고민했겠죠(웃음).”
지금이야 웃으면서 말할 수 있지만, 이순신(박해일 분)과의 독대 신은 그에게 있어 가장 고민이 되는 장면이었다. 준사는 이순신과 와키자카, 각 진영의 두 수장 모두와 깊이 연결되는 유일한 캐릭터이면서 작품의 주제 중 하나인 ‘의와 불의의 싸움’에 대한 해답을 찾아내야 하는 인물이다. 그가 이순신을 만나 흔들리면서 결국 의를 택하게 된다는 서사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이 신이 가장 중요한 지점이 될 수밖에 없었다.
“사실 박해일 선배님을 처음 만나는 신에서 제 분장이 막 헝클어져 있는 상태잖아요. 그 신이 중요했기 때문에 대기 중에도 고민을 많이 하고 있었고, 그래서 다른 분들을 여유롭게 대하지 못하고 있었어요. 누가 봤을 땐 아마 무서웠을 거예요. 그런 분장을 하고 혼자 앉아 있으니까(웃음). 그러다 문득 박해일 선배님을 봤는데 어쩜 저렇게 평온하실까 싶더라고요. 그리고 막상 대면했을 땐 제 개인적인 느낌이지만 선배님으로부터 위로 아닌 위로를 받았던 것 같아요. 다 찍고 나서도 더 뭔가 했어야 하지 않나 고민할 때 선배님이 충분하다고 평온한 말투로 말씀해주셨는데 그게 정말 큰 힘이 됐어요. 아마 그 힘을 받아서 마지막까지 계속 촬영할 수 있었지 않았나 싶어요.”

“매 작품마다 시작할 때 두려움을 느끼곤 하죠. 왜 나한테 이렇게 큰 역이 들어올까. 제가 ‘범죄도시’를 처음 한 뒤로 임팩트 있는 역할들을 계속해 왔는데 매번 작품이 부담스럽고 내가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안고 있었어요. 그런 모습이 결과적으로 주어진 걸 어떻게든 책임감 있게 해낸다는 믿음으로 이어진 게 아닐까요(웃음). 제 입으로 제가 진중하다고 말하긴 좀 그렇지만, 그래도 늘 진지하게 하려고 하는 것 같아요.”
배우로 뛰어온 10여 년 동안 강한 캐릭터로 주로 기억돼 왔지만 김성규는 의외의 ‘스윗한’ 면모도 갖춘 종합선물세트형 배우다. 언젠간 일상적이고 다정다감한 옆집 이웃 같은 역할도 해보고 싶다는 원대한(?) 희망도 늘 마음 한 구석에 품고 있다. 언제가 될진 모르겠지만 김성규가 등장하는 정통 코미디나 로맨틱 코미디 작품도 기대해 볼 만하지 않을까.
“배우로서 그런 부분이 재미있어요. 강인하고 날을 세운 것처럼 보이지만 한편으로는 불안해 보이는 역할들. 배우로서 그 두 가지 면을 보여줄 수 있는 역할들이 매력적인 것 같아요. 제가 아직 코미디 장르는 안 해 봤는데 ‘극한직업’의 이병헌 감독님 같은 분을 만날 수 있다면 너무 좋겠죠. 저도 사람이니까 일상에서 누구를 좋아하기도 하고 밥 먹었는지 물어보기도 하고 싶은데, 작품에서 누구랑 겸상을 하는 일조차 거의 없어 가지고(웃음). 그런 측면에서 (일상적인 작품을) 해보고 싶어요. 편한 작품에 대한 갈증이 좀 있거든요(웃음).”
김태원 기자 deja@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