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경제성장률은 1.8% 전망…“고물가 이어지나 상승률은 둔화할 것”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8일 “예상치 못한 러·우 전쟁 발발과 그에 따른 서방과 러시아의 대립 심화 속에 미국과 중국 간의 패권 경쟁도 격화되면서 진영화 논리가 강화되는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증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글로벌 통화 긴축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재정정책 역시 재정 건전화를 위해 긴축 기조로 선회하면서 정책 발 리스크도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글로벌 협력 체계가 훼손되면서 그동안 누려왔던 세계화의 이득은 점차 축소될 수 있으며, 자산 가격 하락과 부채 리스크는 가계와 기업의 경제활동을 제약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정유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2023년에는 금융 혼란 가중과 성장 둔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며, 공급망 재편 등 구조적인 변화 속에 새로운 균형점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불확실성이 확대될 가능성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023년 추가 금리인상이 불가피해 기준금리가 3.75%까지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대내외 추가 금리인상이 상반기에 종료되고, 글로벌 경기가 하강 국면을 나타내면서 시중금리(국고3년(평균): 2023년 상반기 4.08% → 하반기 3.88%)는 점진적으로 하락하는 가운데 장단기 금리차 역전 현상이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단기금리는 2023년 1분기에 기준금리 고점을 확인한 이후 변동성이 완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장기금리의 경우에는 경기침체 우려 속에 낙폭이 확대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원·달러 환율은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 기대 속에 무역적자 개선, 양호한 대외 신용 등을 감안할 때 상고하저 흐름(원·달러 환율(평균): 2023년 상반기 1400원 → 하반기 1340원)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오현희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국내 수출 위축 및 서비스 적자 확대, 대외 불확실성 심화 등에 따른 외환시장의 변동성 위험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부동산 시장의 경우 금리 급등으로 부채상환 부담이 증대되고, 매수심리 위축도 지속되면서 가격 하락세가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서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금융 여건 악화 속에 과거와 달리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동조화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어 낙폭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022년 경제 성장률은 2.6%(추정)로 회복세가 약화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2023년에는 고물가·고금리의 부정적인 파급효과가 확대되며 성장 둔화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경제 성장률은 1.8%로 큰 폭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민간 소비는 서비스 소비 여력 및 해외여행 증가 등에 힘입어 회복세는 이어가겠지만, 가계의 실질 구매력 감소, 부채 부담 증가, 자산 가격 하락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증가율은 2.2%(2022년 4.1% 추정)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투자는 건설자재 가격 상승세 진정과 선행지표(건설 수주 및 건축 허가) 개선으로 회복세가 예상되지만, 부동산 경기 위축, SOC 예산 감소, 자본조달 비용 상승 등을 감안할 때 증가율은 1.4%(2022년 –1.6% 추정)에 그칠 것으로 판단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경기가 악화하는 상황에서 자본조달 비용 상승, 경제 불확실성 확대 등의 영향으로 IT 제조업을 중심으로 회복세가 지연되며 역성장 흐름(2022년: –4.3% → ’23년: –0.2%)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통관 기준)의 경우 글로벌 성장 둔화 흐름 속에 반도체를 비롯한 주력 수출 품목들의 단가 하락,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등의 영향으로 큰 폭으로 둔화하면서 증가율은 마이너스로 전환(2022년: 8.5% → 2023년: –0.6%)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했다.
한편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안정 및 경기하방 압력 등으로 점차 둔화하겠으나, 러시아발 원자재 수급 불안, 서비스 가격의 하방경직성,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을 감안할 때 고물가 흐름(2022년: 5.3% → 2023년: 3.5%)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정유탁 연구위원은 “2008년 이후 처음으로 고물가(물가 상승률이 한국은행 목표치를 상회)와 성장 부진(성장률이 추세 성장률을 하회)이 동시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박찬웅 기자 rooney@ilyo.co.kr
-
새 컨트롤타워 재건 수준? 삼성전자 임원인사에 재계 시선집중
온라인 기사 ( 2024.11.21 13:38 )
-
‘지금배송’에 ‘넷플릭스 이용권’까지…네이버 ‘큰 거’ 띄우자 유통업계 긴장
온라인 기사 ( 2024.11.15 18:56 )
-
[단독] SK그룹 리밸런싱 본격화? SKC 손자회사 ISCM 매각 추진
온라인 기사 ( 2024.11.19 1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