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토퓨얼 CEO 요나스 토르 올슨은 “우리의 기술은 주유소에서 고객들에게 최대한의 편안함과 안전을 제공해준다”고 설명하면서 “로봇 팔을 이용한 자동주유 시스템은 사람이 개입할 필요가 없다. 때문에 로봇 팔이 주유를 하는 동안 차 안에서 커피를 마시거나 잠깐 휴식을 취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이 프로젝트는 주유소 직원과 고객 모두를 위한 것이다. 주유소의 유해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위험을 줄이고자 하는 게 주요 목표다. 이 밖에도 우범지역에서의 안전도 고려했으며, 더 나아가서는 직접 주유를 할 수 없는 장애인들을 위해서도 유용하게 될 전망이다.
급유 로봇이 광범위하게 도입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 다만 오토퓨얼은 “진정한 의미의 자율주행 자동차가 도로를 달리기 시작할 때쯤이면 우리의 로봇 팔이 매우 귀중해질 것이라고 믿는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하지만 몇 가지 문제도 있다. 우선 해당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차량을 ‘오토퓨얼’에 등록해야 한다는 점이 다소 거북하게 느껴질 수 있다. 과연 사람들이 주유를 하기 위해 자신의 개인정보를 공유할까 하는 점은 풀어야 할 숙제다.
또한 자동차 제조업체마다 다른 연료 탱크캡의 문제도 있다. 캡리스 주유구라면 로봇 팔이 상대적으로 다루기 쉽지만, 여전히 많은 자동차 제조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연료 캡을 과연 로봇이 어떻게 열 수 있을까 하는 문제도 있다. 로봇 팔이 작동하는 속도가 사람보다 훨씬 느리기 때문에 자칫 답답할 수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해 오토퓨얼은 “훨씬 더 빠르게 작동할 수는 있지만, 안전상의 이유로 현재는 그렇게 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로봇은 규정상 안전하게 일정 속도로만 움직여야 하며, 누군가 너무 가까이 접근할 경우에는 동작을 완전히 멈추는 제어장치가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럼에도 최근 로봇과 인공지능이 우리 삶의 큰 부분을 차지하기 시작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오토퓨얼과 같은 솔루션을 일상에서 흔하게 접하게 될 날도 분명 멀지 않은 듯하다.
김민주 해외정보작가 world@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