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의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는 어린 시절 지독한 학교폭력으로 지옥을 맛봐야 했던 주인공이 가해자들을 향해 인생의 마지막 처절한 복수를 이루는 이야기다. 차주영은 가해자 무리 중 최하위 레벨을 벗어나기 위해 아등바등하는 스튜어디스 최혜정 역을 맡았다. 허영심과 허세로 가득한 혜정은 가해자 무리의 리더이자 막강한 재력을 가진 박연진(임지연 분)에게 큰 열등감을 가진 캐릭터다. 연진을 사랑하는 전재준(박성훈 분)을 빼앗기 위해 육체뿐인 관계라도 유지하면서도 한편으론 무리에서 떨궈지지 않기 위해 기를 쓰고 돈 많은 남자들을 만나 신분 상승을 꿈꾸는 다소 천박한 인물로 해석된다.
“저는 혜정이가 재준이를 정말로 사랑했다고 생각했어요. 시작은 분명히 순정이었을 거예요. 다른 배우들은 ‘그거 사랑 아니야, 오기야’ 그러는데 그 말에도 동의해요. 어릴 땐 순정으로 사랑했다가 연진이란 대상이 생기고, 재준이가 연진이를 좋아한다는 걸 알고 저도 연진이처럼 되고 싶은데 그럴 수 없었던 거죠. 이런 복합적인 것들이 얽히고설켜 그 감정에도 혜정이가 중독된 거 같아요. 혜정이는 모든 것에 중독된 사람이거든요. 그렇게 사랑해서 재준이를 위해 모든 걸 버렸는데 재준이가 저를 버렸잖아요. 눈을 그렇게 만들 수밖에 없죠(웃음).”

“저는 연기할 때 혜정이의 그런 ‘어시스트’를 인지하지 못했었는데 배우들끼리 작품 얘기를 하다가 다들 그러더라고요. ‘혜정이가 모두를 몰락시킨 장본인이야(웃음).’ 혜정이는 이야기 속에서 아슬아슬하게 선을 타는데 그렇게 가볍게 흩날리는, 어디로 붙을지 모르는 그런 것들이 잘 보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거든요. 얘가 어디에 붙느냐에 따라 흐름이 바뀔 수 있다는 것까진 인지했는데 정말로 시청자들이 ‘혜정이가 동은이 복수의 어시스트를 했다’고 느껴주실 줄은 몰랐어요. 제가 잘해야만 그렇게 보일 수 있다고 걱정했던 부분이었어서요(웃음).”
그런 혜정이 단 한 번 연진에게서 우위를 점할 때가 있었다. 공개 후 가장 큰 이슈를 불러일으켰던 혜정의 ‘상의 탈의’ 신이 나온, 재준의 집에서 연진과 함께 한 독대 장면이다. 굳이 신체 부위가 그대로 노출되는 신을 불필요하게 넣을 필요가 있었는지, 거기에 심지어 CG로 쓰기 위한 신체 대역 배우까지 참여시킬 이유가 있었는지에 대한 갑론을박이 계속 이어질 만큼 뜨거운 감자였던 이 신을 놓고 차주영은 “저로서는 굉장히 필요한 장면이라고 생각해서 부담도 없었던 신”이라고 설명했다.

혜정의 최후도 위의 ‘화제의 신’만큼이나 시청자들에게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이성을 잃은 이사라가 휘두른 연필로 성대에 심각한 부상을 입고 목소리를 제대로 낼 수 없게 된 혜정은 후반부에 이르러 기묘한 소리와 약간의 수화로만 대사를 대신한다. 심각한 설정이지만 재준과의 티키타카로 약간의 위트가 섞여들면서 유머와 스릴 사이 기묘한 줄타기가 이어진다는 점이 깊은 인상을 줬다는 시청평도 이어졌다.
“그 신을 찍을 땐 연필로 찔렸던 부위도 아주 디테일하게 정해서 들어갔었어요. 의학적으로 어느 부위를 찔러야 하는지 그 위치를 사전조사했거든요. 사실적인 것에 더 중점을 둘지, 아니면 위트를 섞을지에 대해서도 논의를 많이 했는데 그 신만큼은 사실을 기반으로 하되 위트가 섞여도 캐릭터성에서 많이 벗어나지 않을 거란 자신이 생기더라고요. 어떤 분들은 목이 다쳤다고 입 모양까지 제대로 못 하는 건 아니지 않냐는 생각을 하셨을 건데 실제로 목 근육이 다치면 얼굴 근육을 쓰는데도 문제가 생긴대요. 저희는 또 자막으로 대사가 (배우) 옆에 나오고, 재준과 혜정의 티키타카가 분명히 되는 신이니까 사실적으로 딥하게 들어가지 말고 약간 틀자는 데 의견을 모았어요.”
이제껏 주로 도도하고 시크한 이미지로 대중들에게 기억돼 온 차주영에게 있어 이런 최혜정을 연기한다는 것은 성공을 장담할 수 없는 도박이면서, 동시에 늘 해 왔던 익숙한 도전이기도 했다. 어떤 이미지가 꼬리표처럼 붙기 시작할 때마다 그 기대를 저버리는 재미(?)로 변신을 거듭해 왔다는 그는 3월 25일부터 방영하는 KBS 2TV 주말드라마 ‘진짜가 나타났다!’에서 최혜정을 완벽하게 벗어던진 또 다른 연기 변신을 보여줄 준비를 마쳤다.
“‘얘 이것도 되네? 그럼 다른 것도 할 수 있겠는데’ 이런 말을 듣고 싶어요. 차주영이란 배우에 대한 프레임일 수도 있는데, 저는 어릴 때부터 뭔가 주어지면 책임감 있게 해내지만 동시에 반골 기질도 있었거든요. 뭔가에 갇혀서 저를 보기 시작하면 그걸 깨부수고 싶은 욕구가 생겨요. 이제까지도 어떤 배역을 맡아서 그 이미지가 붙으면 다음엔 그걸 깨기 위해 아예 다른 이미지의 배역을 도전해 왔고요. 지금 가장 듣기 좋은 말은 ‘이 배우는 그 이미지에 갇혀 있을 줄 알았더니 이것도 되고 저것도 될 수 있겠구나’라는 말이에요. 너무나도 기다려왔던 반응이라서 그런 말을 듣는 게 정말 반갑더라고요(웃음).”
김태원 기자 deja@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