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은 정신의 배고픔을 해결한다는 존재의 이유를 달고 있다. 육신의 허기는 음식물로 해결되는 단순한 것이지만, 정신적 허기는 모습이 여럿이기에 간단치가 않다. 이런 이유로 미술은 여러 가지 표정의 얼굴을 만들어온 셈이다.
미술의 표정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주술적 얼굴이다. 인류가 미술과 만나면서 처음 보게 되는 것도 바로 이러한 표정이다. 다양한 종교적 의미를 지닌 미술은 모두 이런 얼굴을 가지고 있다. 오랫동안 미술은 이런 표정을 조금씩 바꾸어 가면서 인류 곁에 머물렀다.
미술의 또 다른 표정으로는 역사적 사실을 담아내는 딱딱한 얼굴이 있다. 그런가 하면 사상이나 생각을 전달하는 근엄한 얼굴도 있다. 아름답게 치장하기 위해 꾸민 표정의 얼굴은 사람들에게 미술에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었고, 최근에는 다양한 메이크업으로 끊임없이 새로운 표정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 중 가장 친근한 얼굴은 꾸민 표정으로 ‘미술의 장식적 기능’을 말한다. 우리는 미술의 이런 표정에서 정신적 위안이나 잃어버렸던 정서의 환기, 또는 아름다움을 보는 즐거움을 찾을 수 있다.
조숙연 회화에서 만나는 미술의 표정도 이런 것이다. 그래서 아주 장식적이다. 우선 눈에 띄는 것은 화사한 색채다. 채도가 높기 때문에 경쾌하다. 거기에 덧붙여 예쁜 색들을 골라 쓴 덕분에 사랑스럽게 보인다.
색채만 그런 것이 아니다. 형태까지 보는 이의 마음을 훈훈하게 해준다. 비교적 명확한 선으로 꼼꼼하게 그려낸 형태는 사실적이기에 그림의 내용이 단박에 읽힌다.
조숙연 회화가 추구하는 것은 일상의 소소한 행복이다. 최근 젊은 작가들의 관심사와 맥을 같이하는 내용이다. 지극히 개인적 취향이지만 평범한 현실을 반영한다.
그가 만들어내는 이미지는 독특한 것이 아니다. 자신이 살고 있는 집 안 풍경이나 동네의 모습, 매일 만나 일상을 공유하는 친지나 가족의 생각, 들었던 음악이나 보았던 영화 혹은 책의 내용과 같이 너무나 익숙한 것들이다.
이렇게 친숙한 이미지들이 그의 작품에서는 동화적 구성으로 조숙연만의 회화 언어로 재탄생한다. 동화 문법을 입은 일상의 이미지는 환상적으로 바뀐다.
그는 이런 회화적 언어를 통해 행복에 대한 보편적 바람을 보여준다. 사람들은 누구나 행복하기를 바란다. 지금 그렇지 않다 해도 ‘언젠가는 행복해지겠지’ 하는 바람을 갖고 산다. 행복의 크기나 모양새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행복하기를 바라는 마음은 같을 것이다. 그런 공통분모를 조숙연 회화는 가득 품고 있다.
비즈한국 아트에디터인 전준엽은 개인전 33회를 비롯해 국내외에서 400여 회의 전시회를 열었다. <학원>, <일요신문>, <문화일보> 기자와 성곡미술관 학예실장을 역임했다. <화가의 숨은 그림 읽기> 등 저서 4권을 출간했다. |
전준엽 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