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보도에선 누적 조회 수가 800만을 돌파한 아이돌 그룹의 뮤직비디오를 한 사례로 들었다. 음주와 흡연, 성행위가 연상되는 장면들 때문에 국내에선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을 받았고, 국내 포털 사이트에서는 ‘성인 인증’을 받아야 볼 수 있는 동영상이라는 것. 그러나 기획사가 유튜브에 성인 인증이 필요 없는 등급으로 올려놓았고, 이 뮤직비디오가 공유 기능을 통해 SNS와 블로그 등에 퍼지면서 이미 다수의 청소년이 시청하게 됐다는 것이다.
또한 유튜브에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특정 단어 등을 검색하면 성인 인증과 상관없이 낯 뜨거운 동영상이 줄줄이 나오고, 링크를 복사할 경우 손쉽게 전파된다는 것. 하지만 유튜브는 외국 사업자라는 이유로 ‘등급 분류 판정’ 등 규제를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해당 보도에선 유튜브가 국내 사업자들이 규제로 역차별을 받는 사이에 국내 시장을 잠식해 막대한 수익을 올리면서도 한국 사회의 규범이나 정서는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처럼 ‘유튜브에 대한 규제 필요성’을 타진한 언론 보도에 대해 트위터리안은 다양한 반응을 쏟아냈다.
다수는 아니었지만, ‘어떤 방식으로든 규제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이 눈에 띄었다. mrc****는 “청소년들이 다른 영상을 찾아볼 때, 그 옆으로 19금 추천물이 떠서 쉽게 접하게 된다면 큰 문제”라며 “최소한의 안전장치나 규제 대책이 필요한 것 같다”고 적었다. luc****는 “유튜브 영상이 여과 없이 스마트폰을 통해 어린 학생들에게 퍼지고 있는 실정”이라면서 “음란물뿐 아니라 잔혹 영상에 대한 규제책도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규제 무용론’도 적지 않았다. rhr****는 “청소년들 사이에선 몇 가지 ‘성인 인증’ 우회 접속 방법이 퍼져 있는 걸로 안다”면서 “설사 유튜브에 올라오는 19금 영상에 인증을 건다고 해도 실효가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dlf****도 “정부에서 아무리 성인물을 규제해도 볼 아이들은 다 뚫고 본다”며 “규제로 막을 수 있는 일이 아니다”라고 적었다.
그런가 하면 ‘집안 단속부터 하라’는 의견도 상당수였다. kig****는 “그렇게 청소년 유해환경이 우려되면 남 탓하지 말고 아이들이 늘 접하는 TV 프로의 선정성부터 바로 잡으라”고 주문했다. ppa****도 “영상의 노출 수위만 문제되는 것이 아니다”면서 “막장 불륜 폭력이 판치는 드라마가 아이들 정서에 미치는 악영향이 더 크다”고 지적했다.
논란의 불똥이 다소 엉뚱하게 정부의 규제 정책 쪽으로 튀기도 했다. wor****는 “유튜브가 국내 시장을 쉽게 장악할 수 있었던 것은 국내 사이트처럼 어처구니없는 갖가지 규제를 받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통제불가능한 유튜브를 탓하기 전에 규제 위주 정책부터 고치라”고 적었다. wri****는 “걸핏하면 규제부터 하는 바람에 한국이 인터넷세상에서 고립된 섬처럼 변해가고 있다”면서 “영상물 수위에만 현미경을 들이대지 말고, 눈 크게 뜨고 세계 문화 흐름을 봐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