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전 대통령은 17대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부터 야당과 시민단체로부터 전 재산 사회 환원 공약을 지키라는 압박을 지속적으로 받았다. 2009년 8월 이 전 대통령은 대선 당시 약속에 따라 청계재단을 설립했다. 이 전 대통령은 그해 7월 자신이 소유한 서울 서초동 영포빌딩과 대명주빌딩, 양재동 영일빌딩 등 감정평가액 395억 원의 자산에서 채무 50억 원을 제외한 331억 원 상당의 자산을 청계재단에 출연했다.
서울 서초동 영포빌딩 1층에 위치한 청계재단. 박은숙 기자 espark@ilyo.co.kr
거창하게 시작했던 장학금사업이 축소된 것도 논란이 됐다. 청계재단은 재단을 설립할 당시 수익이 매년 11억 원 이상 발생할 것이며, 수익의 대부분을 장학사업에 쓰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청계재단의 장학사업 관련 지출이 매년 줄어든 것이 밝혀지면서 또 다시 여론의 역풍을 맞는다. 2010년 447명에게 6억 1915만 원의 장학금을 지급했던 청계재단은 이듬해인 2011년에는 408명의 학생에게 5억 7865만 원의 장학금을 지급하기도 했다.
청계재단의 장학사업 규모가 재단이 거둬들이는 총수입의 3분의 1에 불과한 수준이고, 그마저도 장학금보다 대출이자를 갚는 데 돈이 더 많이 쓰인다는 것도 여론의 지탄을 받았다. 이 전 대통령이 2009년 사재를 출연해 장학재단을 설립하면서, 영일빌딩 등 소유 부동산과 함께 이들 건물을 담보로 우리은행에서 빌린 채무까지 청계재단으로 넘긴 것이 문제였다. 청계재단은 이 채무 변제를 위해 다시 대출을 받아 매년 수억 원의 이자를 부담해야 했던 것이다. 청계재단은 이 같은 사실이 논란이 되자 “한국타이어에서 내던 기부금의 납부 여부가 불확실해 장학금 규모를 줄이게 됐다”고 해명하기도 했다.
대선 당시 이 전 대통령의 실소유 논란이 일었던 다스의 지분 일부가 청계재단으로 넘어간 사실이 밝혀지면서 다시 한 번 실소유주 의혹이 번진다. 2010년 사망한 이 전 대통령의 처남 김재정 씨의 지분 가운데 5%가 청계재단으로 넘어간 것. 다스의 지분 변동에 따라 이 전 대통령의 친형 이상은 씨의 다스 지분 46.85%와 청계재단의 다스 지분 5%를 합치면 51.85%에 이르게 된다. 이상은 씨와 청계재단이 뜻을 모으면 사실상 다스의 주요 의사결정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번 청계재단에 대한 MB의 개인 사금고 의혹이 불거지면서 청계재단의 잔혹사도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배해경 기자 ilyohk@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