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정보
한국 영화사에 큰 획을 그은 <쉬리>가 개봉한 지 16년여의 세월이 흘렀다. 한국 영화의 비약적인 발전의 시작점을 <쉬리>라 생각하는 기자는 <용의자>를 보며 16년 전 <쉬리>가 계속 떠올랐다. 도심 총격전 등 당시로서는 획기적이던 <쉬리>의 액션 장면들이 <용의자>에 이르러선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에 뒤지지 않을 만큼 발전했다. 무술감독 출신인 원신연 감독은 이 영화에서 할리우드의 <본> 시리즈에 결코 뒤지지 않는 액션 연출을 선보였다.
물론 액션 장면만 화려하고 스토리는 허술한 영화도 종종 있다. 그렇지만 <용의자>는 스토리 역시 탄탄하며 구성도 치밀해 영화 상영 내내 긴장을 놓지 않게 만드는 힘을 갖추고 있다.
<쉬리>와 <용의자>는 스토리와 캐릭터 등에서 유사한 구석이 있다. 두 영화는 모두 북한의 특수부대 출신 요원이 주인공이다. 16년 전 <쉬리>에선 특수8군단(제8특수군단사령부) 소속의 특수 요원이 주인공이었다면 이번엔 룡강부대다. 평양 서쪽의 조그만 도시인 룡강에 위치한 훈련 캠프 출신을 룡강부대 요원이라 호칭하는데 룡강부대에는 특수8군단 등 북한의 특수부대에서 선발된 최정예 요원만을 대상으로 훈련을 시킨다. 따라서 특수8군단 소속 요원보다 한 단계 더 정예화된 특수요원임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이들이 한국에 온 이유는 다르다. <쉬리>에서의 특수8군단 소속 박무영과 이명현은 간첩 신분으로 한국에 침투한 것인데 반해 <용의자>의 룡강부대 출신 지동철과 리광조 등은 탈북한 이들이다.
갈등 구조 역시 16년 동안 달라진 남북 관계의 현안에 따라 큰 변화가 있었다. <쉬리>에선 남과 북으로 분단된 현실에 초점을 맞춰 양국 최고의 정예요원들이 사랑에 빠지는 상황이 스토리의 중심이었다. 반면 <용의자>에선 탈북 문제가 화두다. 자신의 조국인 북한으로부터 버림받고 가족까지 잃은 뒤 남한으로 망명한 전직 특수부대 요원이 자신의 가족을 죽인 이를 찾아 복수하려다 우연한 계기로 모종의 사건에 휘말리는 내용이 이야기의 중심이다.
남북 관계를 대립으로만 바라보던 90년대 <쉬리>의 시선과 달리, 2014년 <용의자>는 탈북 문제, 간첩 사건 조작 등으로 남북 관계 관련 소재의 활용 폭이 변화했다. 영화가 변했다기보다는 그만큼 한국 사회에서의 남북 관계에 대한 시선과 이슈가 달라진 사실이 영화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게다가 이번 사건은 최근 발생한 ‘서울시 공무원 간첩 사건’과 묘하게 맞물리는 구석이 있다. ‘서울시 공무원 간첩 사건’은 아직 진행 중인 사건이며 영화 <용의자> 속 상황은 악역에 해당되는 김석호 실장(조성하 분) 개인의 비리와 관련된 극적인 상황이라는 점에서 직접 비교는 불가하다. 다만 국정원의 ‘조작’이라는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유사점이 있어 영화를 보는 재미를 더한다.
@ 초이스 기준 : 액션 영화를 좋아한다면 무조건 클릭
평소 액션 영화를 좋아하는 이들에게는 무조건 추천이다. 액션 영화로서의 가치는 이미 할리우드 유명 액션 블록버스터의 수준을 뛰어 넘었다. 북한 최정예 특수요원으로 출연한 공유는 현란한 액션은 기본, 특전사의 낙하산 강하훈련 도중 돌발사고 장면에서의 고공 액션, 역주행은 기본이고 계단까지 활용한 수려한 차량 액션 등을 선보여 볼거리가 넘쳐 난다. 게다가 스토리까지 탄탄해 볼거리는 많지만 내용은 부실한 액션 영화들과의 차별점도 확실하다.
@ 추천 다운로드 가격 : 2만 원
망설임 없이 높은 가격을 책정했다. 다운로드 시장에선 극장 동시 개봉 영화가 1만 원임을 감안하면 2만 원은 현실적인 수준을 뛰어 넘는 가격이다. 결국 무조건 선택해도 좋을 영화라는 의미다. 2만 원이면 극장 관람비보다는 비싼 가격이다. 극장에서 봤어도 후회 없었을 것이라는 의미로, 사실 액션이 화려한 만큼 극장에서 관람하는 게 더 좋았을 것이라는 의미도 있다. 이미 극장 관람의 기회는 사라진 만큼 온라인 영화 웹하드 사이트에서 다운로드를 받거나 TV VOD 서비스 등을 통해 반드시 관람할 것을 강력 추천한다.
신민섭 기자 leady@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