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김동완 교수, 이준구 전문의, 한서경 교수
서울대병원 종양내과 김동완 교수와 이준구 전문의, 의학연구협력센터 한서경 교수 등 공동연구팀이 EGFR 표적항암제와 기존 항암제 치료와 관련해 11개 임상시험, 1605명 환자의 치료결과를 메타분석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이 결과는 세계 3대 의학저널인 미국의학협회지(JAMA) 9일자 최신호에 게재됐다.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연구팀은 표적항암제의 효능에 논란이 있어 온 EGFR 돌연변이 음성 환자군에서 최선의 치료 약제가 무엇인지 규명하기 위해 이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팀의 분석 결과, EGFR 돌연변이 음성 환자는 기존 세포독성 항암제로 치료한 경우가 EGFR 표적항암제로 치료한 것 보다 암의 진행속도가 느리고, 종양크기도 더 많이 감소했다.
이같은 결과는 이들 항암제가 1차 치료제로 사용되는 경우와 2차 치료제로 사용되는 경우 모두 관찰됐다.
두 치료군 간에 전체 생존기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이는 임상시험 이후 받은 후속치료에 의해 차이가 줄어든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EGFR 돌연변이 음성환자에서는 EGFR 억제제보다 기존 항암제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폐암은 국내 암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는 치료가 매우 어려운 암이다. 그러나 최근 표적항암제의 등장으로 치료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고 있다.
특히 EGFR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 표적항암제인 이레사 혹은 타세바에 좋은 반응을 보이며, 이러한 EGFR 돌연변이 양성 환자군은 국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약 40%를 차지한다.
그러나 EGFR 돌연변이 음성인 나머지 60% 환자에서 이레사, 타세바 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는 그간 논란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오랜 기간 논란이 되어 온 EGFR 돌연변이 음성 환자군에 대한 치료 방침 설정에 이정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대학교병원 종양내과는 방영주 교수가 2010년과 2012년 위암 다국가 3상 임상시험 결과를 Lancet에 대표저자로 게재했다.
이어 김동완 교수가 2013년 폐암 표적항암제 크리조티닙 임상시험 결과를 NEJM에 대표저자로 게재한 바 있다.
이번 메타분석연구를 JAMA에 게재함으로써 항암제 치료와 연구에 있어 세계 최고 수준임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는 게 서울대병원측의 설명이다.
송기평 기자 ilyo11@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