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외과 김선회, 장진영, 강미주 교수
서울대병원측에 따르면 연구팀은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 7개 병원에서 췌십이지장절제술이 예정된 췌장암 환자 169명을 대상으로 수술 후 생존율을 비교했다. 표준 림프절 절제술 그룹(83명)과 확대 림프절 절제술 그룹(86명)로 나눠 분석했다.
췌십이지장절제술은 복부 수술 중 가장 큰 수술로 췌장, 십이지장, 담도를 함께 절제하는 수술법이다. 표준 림프절 절제술은 췌장 주위의 림프절 중 암 전이 가능성이 높은 특정 림프절만 제거한다. 확대 림프절 절제술은 표준 림프절 절제술 보다 림프절 절제 범위가 넓고 주변 신경조직까지 제거한다.
분석 결과 췌장암 수술 후 2년 생존율은 표준 림프절 절제술 44.5%, 확대 림프절 절제술 35.7%로 확대 림프절 절제술이 암 환자의 생존율을 증가시킨다는 근거는 없었다.
또한 확대 절제 시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이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가 생존율을 높인다고 보고했다.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의 생존 기간 중앙값은 20.8개월인 반면 그렇지 않은 환자는 14개월로 나타났다.
표준 절제술 그룹 중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의 2년 생존율은 50.7%인 반면 그렇지 않은 환자는 25%로 조사됐다.
췌장암은 한국인 암 발생 9위, 암 사망5위, 5년 생존율 7.8%로 예후가 매우 나쁘다. 완치를 위해서는 수술적 절제가 필수지만 수술의 방법에 대해 학계의 논란이 많다.
췌장암세포는 췌장 주변의 림프절과 신경을 통해 퍼진다. 이 때문에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췌장 주위 림프절과 신경을 넓게 절제해 왔다. 그러나 난치성 설사, 영양실조 등 환자의 질을 떨어뜨리는 부작용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표준 림프절 절제만으로도 확대 림프절 절제와 동등한 수준의 췌장암 치료 성적을 얻을 수 있음이 이번 연구로 밝혀졌다”며 “난치성 설사, 영양실조 등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확대 림프절 절제술을 막을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수술 후 적극적인 항암 방사선 치료가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고려할 때 현재 시점에서 췌장암의 가장 적절한 치료법은 표준 림프절 절제술 후 적극적인 항암방사선 치료를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는 외과계 최고 권위 학술지인 ‘Annals of Surgery’ 최근호에 게재되는 등 국내외 유수학회에 발표됐다.
서울대병원 외과는 1961년 국내 최초로 췌십이지장절제술을 시행, 2013년 3000례를 기록했다. 단일 기관으로는 세계 5위권에 속하는 경험을 갖고 있다.
송기평 기자 ilyo11@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