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상징투쟁의 사회학’. 사진=커뮤니케이션북스
예술은 곧 사회의 반영이다. 그래서 예술과 사회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특히 우리 시대의 예술은 예술가들의 비약적으로 확장된 사회참여를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예술, 예술가, 사회는 별개의 존재들이 아니다.
신간 ‘상징투쟁의 사회학’은 예술가들의 미학적 실천, 즉 사회적 실천이 사회의 변화를 초래하고 사회 공간의 변화가 다시 미학적 표현 가능성을 확장시킨다는 변증법적 관점에서 우리 시대 예술을 논한다.
필자는 예술가들의 사회참여를 단순히 몇몇 개인 예술가의 위대한 성취가 아니라 사회공간과 예술장 사이의 역동적 상호작용 속에서 검토한다. 여기서 예술가는 사회적 문제에 무관심한 고독한 개인이 아니라 사회 공간에서 관철되는 지배와 착취에 저항하고 민주주의의 실현을 추구하는 사회적 행위자가 된다. 즉, 상징투쟁자가 되는 것이다.
필자는 이 같은 논의를 위해 피에르 부르디외와 아놀드 하우저, 에밀 뒤르켐을 호명하고, 1980년대부터 꾸준히 등장하고 활동하고 있는 여러 분야의 민중미술(혹은 참여예술)을 되살려낸다.
이 책은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1부 ‘상징투쟁 공간의 이론적 탐색’은 예술가의 상징투쟁이 수행되는 객관적 조건을 분석한다. 부르디외의 ‘상징투쟁’ 개념을 이해하고, 부르디외와 하우저를 대비시켜 예술적 생산관계를 분석하는 등 상징투쟁으로서의 예술적 생산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탐색이다.
2부 ‘상징투쟁자로서의 예술가’는 좀 더 구체적인 맥락에서 예술가와 예술운동을 다룬다. 뒤르켐을 통해 본 1980년대 한국의 민중미술, ‘전시장’과 ‘현장’을 나뉘었던 민중미술운동, 2000년대 이후의 예술가들의 상징투쟁, 영화와 미술, 감독과 작가 사이를 오가는 임흥순의 작품 분석, 상징 투쟁의 관점에 재해석한 스티브 잡스 등을 만날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우리 시대 예술을 이해하는 또 다른 시선을 만날 수 있다.
이수진 기자 sj109@ilyo.co.kr